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816, 러시아 쿠르스크 |
---|---|
사망 | 1882, 모스크바 |
국적 | 러시아 |
요약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러시아의 신학자, 역사가, 러시아 정교회의 모스크바 수도대주교.
본명은 Mikhail Petrovich Bulgakov.
시골 사제의 아들로 태어나 수사가 되면서 마카리우스라는 이름을 받았다. 키예프의 성직자 아카데미에서 공부한 뒤 이 아카데미의 교수가 되어 역사를 가르쳤다. 1842년에는 상트페테르부르크 아카데미의 교수, 1850년에는 학장, 1854년에는 러시아 학술원 회원이 되었다.
1851년에는 주교로 임명되어 탐보프(1857), 하리코프(1859), 리투아니아의 빌니우스(1868) 교구들을 차례로 맡았고, 1879년에는 모스크바 수도대주교가 되었다. 성직에 있는 동안 대학의 수를 늘리고, 직접 글을 쓰고, 다른 사람들에게 물질적·지적인 지원을 베풀면서 역사 및 신학 교육을 발전시켰다.
마카리우스는 여러 분야의 책을 썼는데, 그 가운데 대표적인 것은 〈정통 교의학 Orthodox Dogmatic Theology〉(6권, 1847~53)이다. 이 책은 1868년에 3권으로 압축·합본되어 학생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교과서가 되었다. 그는 조반니 페로네와 19세기 로마 가톨릭 저자들의 실증신학, 즉 역사신학의 영향을 받았다. 방법론적으로는 라틴 교회의 모델들을 면밀히 따랐지만, 쟁점이 되었던 문제들에 대해서는 정교회의 전통적인 교리들을 고수했다.
1857~82년에 마카리우스는 러시아 교회가 세워진 10세기부터 모스크바 공의회가 열린 1667년까지를 다룬 〈러시아 교회사 History of Russian Church〉(13권)를 펴냈다. 이 책은 사료에 대한 평가가 미흡하지만 그때까지 출판되지 않았던 문서들을 활용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그는 또한 3권의 설교집과 〈러시아의 복고 신앙파 분열사 History of the Russian Schism of the Old Believers〉를 남겼다. 이 책은 17세기 모스크바 총대주교 니콘의 예배의식 및 교리개혁에 반발한 집단을 다룬 것이다.
그의 저서 〈정통 교의학〉이 프랑스어와 슬라브어 판으로 번역된 것으로 보아 동방 정교회 사상에 대한 마카리우스의 영향력은 엄청난 것이었다. 그러나 그의 라틴 스콜라 신학방법론을 반대한 19, 20세기 러시아 신학자들은 그의 독특한 가르침들 가운데 몇 가지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종교인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