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기업활동과 이윤의 분배

다른 표기 언어

기능별 분배의 이론을 크게 발전시킨 신고전학파에 의해서도 설명되지 않는 1가지 소득의 형태는 바로 이윤이다. 이윤은 국민소득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므로 투자자금의 주요원천일 뿐 아니라 생산의 주요동인이다.

신고전학파 이론에서 이윤을 설명하지 못하는 이유는 그 이론의 정태성과 완전경쟁을 전제로 하고 있는 가정 때문이다. 완전경쟁을 가정할 경우 장기적으로 이윤은 0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이윤을 설명하기 위해 신고전학파내에서는 다양한 각도의 시도가 이루어졌다.

첫째, F.H. 나이트는 이윤의 원천을 불확실성에서 찾았다. 여기서 불확실성은 위험과 구별된다. 즉 미래에 대한 위험이란 예측이 가능하여 생산의 정기적인 비용으로 간주되는 경우를 가리키는 반면, 불확실성이란 예상조차 할 수 없어 비용으로 고려되지 않는 상황을 의미한다. 이렇게 규정할 경우 자유기업경제하에서 불확실성에 대응하고자 하는 기업가의 의지에 대해서는 보상이 주어져야 한다고 볼 수 있다. 즉 기업가의 의지를 생산의 한 요소로 간주할 수 있는 것이다.

둘째, 슘페터는 이윤을 새로운 기술적 우위에 대한 대가 혹은 프리미엄으로 설명했다. 시장가격은 가장 열등한 기업의 비용수준에서 결정되는데, 바로 그 시장가격과 우수기업의 개별적인 생산비 사이의 차이가 이윤이 된다고 본 것이다.

셋째, 이윤의 원천을 시장의 독점에서 찾는 경우도 있다. 시장에서의 독점도에 따라 이윤의 크기가 결정된다고 보는 것이다.

넷째, 이윤은 가격 상승이 비용의 증대를 앞지르는 상태에서 일어난 인플레이션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경제

경제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기업활동과 이윤의 분배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