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부하라

다른 표기 언어 Bukhara
요약 테이블
위치 우즈베키스탄 중부, 제라프샨 강의 하류 연안
인구 281,232명 (2023년 추계)
면적 39.4㎢
대륙 아시아
국가 우즈베키스탄

요약 우즈베키스탄의 행정구역. 제라프샨 강 연변의 부하라 오아시스 한가운데에 자리잡고 있다. 1세기 이전에 세워진 도시로 709년에 이미 교역과 수공업 중심지로 번창하고 있었다. 9~10세기에 사만 왕조의 수도였으며 1220년 칭기즈 칸에게, 1370년에는 티무르에게 정복되었다. 1506년 우즈베크에 점령되어 16세기 중엽부터 부하라 칸국의 수도가 되었다. 부하라는 16세기말에 전성기를 맞이해 페르시아 북부와 아프가니스탄 및 중앙 아시아 지역까지 영토를 넓혔다. 부하라 시는 소비에트 인민공화국이 1924년 우즈베키스탄에 흡수될 때까지 인민공화국의 수도로 남아 있었다. 1950년대 말에 가까운 곳에서 천연 가스 매장지가 발견된 뒤 급속도로 발전했다.

부하라(Bukhara)

ⓒ Evgeniy Agarkov/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라프샨 강 삼각주 샤흐루트 운하 연변의 부하라 오아시스 한가운데에 자리잡고 있다.

1세기 이전에 세워진 도시로 709년 아랍인들에게 점령당했을 때는 이미 교역과 수공업 중심지로 번창하고 있었다. 9~10세기에 사만 왕조의 수도였으며 후에 카라한 왕조와 카라키타이인에게 점령되었다가 1220년 칭기즈 칸에게, 1370년에는 티무르에게 정복되었다. 1506년 우즈베크의 샤이반 왕조에게 점령되어 16세기 중엽부터 그들이 세운 부하라 칸국의 수도가 되었다.

부하라는 샤이반 왕조가 페르시아 북부와 아프가니스탄 및 소련에 속했던 중앙 아시아 지역까지 영토를 넓힌 16세기말에 전성기를 맞이했다. 18세기 중엽 이지방 토후였던 모하메드 라힘이 페르시아의 지배에서 벗어나 망기트 왕조를 세웠으나 1868년 부하라 칸국은 러시아 보호령이 되었고 1920년 부하라의 토후는 소련의 붉은 군대에게 추방되었다.

부하라 시는 부하라 칸국 대신 세워진 부하라 소비에트 인민공화국이 1924년 우즈베키스탄에 흡수될 때까지 인민공화국의 수도로 남아 있었다. 1950년대 말에 가까운 곳에서 천연 가스 매장지가 발견된 뒤 급속도로 발전했다.

옛 시가지에는 모스크와 마다리스(madāris : 신학교), 지붕이 평평한 벽돌집, 지붕을 덮은 시장(bazaar) 등 이전의 모습이 아직 많이 남아 있다. 중요한 건축물로는 이스마일 사마니 능묘(9~10세기), 칼리안 미나레트(1127)와 모스크, 울루그베그 신학교(1417), 쿠켈다시 신학교(16세기), 아브둘라지즈한 신학교(1652)와 지금도 소련령 중앙 아시아에서 기능을 발휘하고 있는 유일한 이슬람 신학교인 미리아랍 신학교(1536), 부하라에서 가장 오래된 건축물인 아르크 요새 등이 손꼽힌다.

경제는 다양한 경공업 및 식료품산업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카라쿨 양의 양털을 가공하는 큰 공장이 있다. 부하라는 천연 가스 매장지역에서 가장 큰 도시로 차츰 부각되고 있다. 금실 자수와 금속세공을 비롯한 전통적 수공예가 지금도 이루어지며 교육대학과 극장·박물관 등의 문화시설이 있다.

지도
부하라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아시아

아시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우즈베키스탄 주요도시

추천항목


[Daum백과] 부하라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