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상악치아와 하악치아가 비정상적으로 맞물린 상태.
부정교합은 치아우식증, 치수질환과 더불어 3대 치과질환의 하나이다. 일반적인 분류기준은 상하악 제일대구치의 접촉관계에 따라 정상교합과 부정교합으로 분류하며, 부정교합은 상악이 앞으로 심하게 나오는 상악전돌부정교합과 하악이 나오는 하악전돌부정교합으로 나뉜다. 한편 원인에 따라 선천성 부정교합과 후천성 부정교합으로 나누기도 한다.
부정교합으로 인해 야기되는 문제점으로는 우선 저작장애와 심미적인 장애를 들 수 있다. 특히 사춘기 때는 치아의 심미적인 장애로 인해 성격장애까지 초래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가능한 조기에 교정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생 원인은 선천성 원인과 후천성 원인으로 나눌 수 있다. 선천성 원인은 유전적인 요인에 의해 생기므로 현재는 예방이 불가능하다. 후천적 요인으로는 하악관절이 타박상이나 골수염 등으로 손상되어 발생하는 하악골 발육부전이 있다.
한편 손가락을 빠는 습관이 있는 경우 전치가 뻐드러지며 개방교합이 된다. 또한 코에 이상이 있어서 코가 막힐 경우 자연히 입으로 호흡을 하게 되므로 구치부는 반대교합이 되고 전치는 뻐드러지게 된다. 젖니가 조기상실되거나 너무 오랫동안 남아 있을 때도 부정교합의 원인이 되므로 적당한 시기에 젖니를 뽑아 주어야 한다. 이러한 후천적인 요인에 의한 부정교합을 조기 발견하여 고쳐주면 상당히 많은 치료가 가능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질병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