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부용상사곡

다른 표기 언어 芙蓉相思曲

요약 작자·연대 미상의 국문 고전소설.

1책. 구활자본. 사랑하는 사람과 이별한 사연을 하소연하는 가사에 사건을 덧붙여 지은 작품이다. 1913년 신구서림에서 펴낸 〈부용의 샹이미지곡〉이 있다. 필사본이나 판각본은 보이지 않고 1910년대의 활자본만 있는 것으로 보아 활자본으로 내서 팔기 위한 의고적인 창작물로 여겨진다.

부용은 평양 기생으로 시화금서에 능하고 뛰어나게 아름다웠으며 절개가 곧았다. 한양 안국동의 김유성은 홀어머니를 모시고 살았는데 뜻한 바 있어 경치 좋은 곳을 찾아 돌아다녔다. 평양에 이르러 부용의 명성을 듣고 시를 써서 전하자 부용은 그를 받아들여, 술상을 차려놓고 시를 주고받으며 밤이 깊도록 논다. 그날 밤 둘은 백년가약을 맺고 운우지락(雲雨之樂)을 이룬다.

10여 일 뒤 유성이 한양으로 떠나게 되자 부용은 "인간리별 만이미지중에 이미지리별이 더욱 셟다"로 시작되는 〈상사별곡〉을 지어 슬픔을 달랜다. 유성이 한양으로 올라가던 중, 평소 부용에게 흑심을 품었던 최만흥이 유성을 죽이려고 자객을 보내나 호랑이가 나타나는 바람에 위기를 면한다. 한편 새로 평양감사로 부임한 이도중은 여색을 밝히는 사람이었는데 최만흥이 부용을 추천하여 대동강 뱃놀이에 강제로 참석하게 한다. 부용은 반항하다가 강물에 몸을 던지는데 이날 어부가 고기를 낚다가 부용을 건져 목숨을 구한다.

유성은 부용이 자결했다는 소식을 듣고 슬픔에 잠긴다. 이때 유성의 친구 이몽매가 평안도 어사가 되어 이도중을 처벌하고, 부용은 〈상사별곡〉을 유성에게 보내 자신이 살아있음을 알린다. 그뒤 유성은 성천부사가 되어 부용과 함께 부임하고, 우승지가 되어 내직에 들자 이판서의 딸을 정실로 맞아 두 부인과 더불어 행복을 누렸다고 하는 줄거리이다.

양반의 자제와 기생이 사랑하여 어려움 끝에 혼인하는 내용이 〈춘향전〉과 비슷하나, 연시가 사건 진행에 중요한 구실을 하며, 악인이 복수로 등장하고, 악인이 남자 주인공에게도 해를 끼치며, 그리고 악인의 처벌을 친구가 대신하는 점이 다르다. 시로 유명한 성천의 기생 김부용당(金芙蓉堂)이 김이양(金履陽 : 1755~1845)의 첩이 되었던 일을 소설로 꾸민 것이라고도 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소설

소설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부용상사곡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