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부슈넬

다른 표기 언어 Horace Bushnell
요약 테이블
출생 1802. 4. 14, 미국 코네티컷 밴텀
사망 1876. 2. 17, 코네티컷 하트퍼드
국적 미국

요약 회중교회 목사, 논쟁적인 신학자.

부슈넬(Horace Bushnell)

ⓒ Samuel W. Rowse/wikipedia | Public Domain

'미국의 종교 자유주의의 아버지'로 불리기도 한다. 코네티컷 주 뉴프레스턴 주변 시골 마을에서 성장하여 1821년 회중교회에 입회했고, 1823년 목사가 될 계획으로 예일대학교에 들어갔다. 그러나 1827년 이 대학교를 졸업한 뒤 잠시 학교 선생으로 있다가 〈뉴욕 저널 오브 코머스 New York Journal of Commerce〉의 부주필로 일했고, 후에 예일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다.

신학공부를 시작할 수 있을 만큼 종교적 의문이 충분히 줄어든 것은 1831년으로 이때는 그가 변호사 자격을 얻게 된 후였다. 예일대학교 신학부에 입학하여 1833년 하트퍼드에 있는 북부 회중교회의 목사로 임명되었는데, 그곳에서 건강이 악화되어 사임할 때까지 20년이 넘게 목회했다. 미국 지성사의 거장에 속하는 부슈넬은 청교도적인 뉴잉글랜드의 정통주의적 전통과 랠프 왈도 에머슨,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 특히 프리드리히 슐라이에르마허가 주창한 신낭만주의운동의 중간적 위치에 있는 인물이다.

그가 맨 처음 쓴 주요저서 〈그리스도교적 성숙 Christian Nurture〉(1847)은, 부흥목사들이 회심체험을 주로 강조하는 것을 철저히 비판하는 내용이다. 〈그리스도 안에 계신 하느님 God in Christ〉(1849)은 그가 신비체험으로 복음을 깨치게 된 1849년에 출판한 것으로 이 책에서 그는 전통적이고 대속론적인 속죄관(그리스도의 죽음은 죄로 인해 인간이 받을 심판에 대한 대속이라는 견해)에 이의를 제기했고, 종교적 신앙과 하느님의 신비에 관한 언어의 사회적·상징적·연상적 속성을 강조하면서 언어의 문제점들을 고려했다.

〈신학에 있어서 그리스도 Christ in Theology〉(1851)에서 그는 특히 은유적인 언어와 도구적인 삼위일체 이해에 주의를 기울이면서 신학언어에 대한 자신의 태도를 자세히 설명하고 변호했다. 〈자연과 초자연적 존재 Nature and the Supernatural〉(1858)에서 그는 이 책의 제목이 되는 자연과 초자연적 존재라는 두 요소가 하나인 '하느님의 체계'를 이루고 있다고 보았으며, 죄·기적·성육신·계시·그리스도의 신성에 관한 그리스도교 견해를 회의론자들의 공격으로부터 지키고자 노력했다.

부슈넬의 견해는 신랄한 공격을 받았고, 1852년 북부 교회는 교회의 이단재판을 저지하기 위해 지역 '협의회'에서 탈퇴했다. 그러나 이러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그는 일관된 논의를 모아 제시하는 능력으로 그리스도교를 해석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감화를 주고 영향을 미쳤다. 많은 저술을 남겼는데, 대표작으로는 〈대속적 희생 The Vicarious Sacrifice〉(1866), 〈용서와 율법 Forgiveness and Law〉(1874), 6권으로 된 논문과 설교문 모음 등이 있다. 〈과학과 종교 Science and Religion〉(1868)는 다윈의 진화론에 대한 반박이론을 전개하고 있다.

사회문제에 대해서는 온건하고 신중한 견해를 보였는데, 이에 관한 그의 견해는 〈노예문제에 관한 논설 A Discourse on the Slavery Question〉(1839)·〈인구조사와 노예제 The Census and Slavery〉(1860)·〈여성의 참정권:자연에 위배되는 개혁 Women's Suffrage:The Reform Against Nature〉(1869) 등에 기록되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종교인

종교인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부슈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