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설립 | 1946년 5월 15일 |
---|---|
유형 | 국립 종합대학 |
소재지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대학로 63번길 2(부산캠퍼스),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부산대학로 49(양산캠퍼스),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삼랑진로 1268-50(밀양캠퍼스),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179(아미캠퍼스) |
사이트 | http://www.pusan.ac.kr |
요약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밀양시·양산시에 소재한 거점국립대학. 1946년 경남 지역민의 헌금으로 기금을 조성하여 설립된 국립부산대학을 전신으로 하며, 대한민국 최초의 종합 국립대학이다. 교훈은 '진리·자유·봉사'이다. 4개의 특화된 복수 캠퍼스 체제를 갖추고 있다. 부산캠퍼스는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 양산캠퍼스는 경남 양산시 물금읍, 밀양캠퍼스는 경남 밀양시 삼랑진읍, 아미캠퍼스는 부산광역시 서구 아미동에 소재한다.
개요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양산시·밀양시에 있는 4년제 국립 종합대학. 1946년 설립된 ‘국립부산대학’을 기원으로하며, 1953년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었다. 대한민국 최초의 종합 국립대학이다. 부산대학교를 우리말로 ‘새벽벌’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는 ‘효원(曉原)’이라고도 일컫는다. 이는 윤원구 초대총장이 장전동 캠퍼스 부지를 답사하며 지칭하였다는 데서 유래했다.
설립 이념
부산대학교는 진리·자유·봉사의 정신을 실현하는 참 대학으로서 인류애를 기반으로 시대의 흐름을 통찰한 새로운 가치 체계를 만들어 지역과 국가 그리고 인류 사회의 발전에 기여하는 학문 연구와 인재 양성을 통해 사회의 미래 비전을 제시하고 실천하는 것을 교육 이념으로 하고 있다. 인재상은 창의적 지식인, 개방적 지식인, 봉사하는 지식인, 글로벌 전문인으로 설정하고 있다.
연혁 및 변천
1945년 해방 이후 경상남도는 도민의 숙원인 국립대학 설립을 위해 국립대학 설립기금 1,000만 원 조달에 매진했다. 고성의 옥천사가 사찰 소유의 토지 13만 5천 평을 기부했고, 지역민과 기업들이 헌금을 모아 기금을 조성했다. 1946년 5월 국립부산종합대학교의 설립이 확정되어, 인문학부와 수산학부를 개설한 국립부산대학으로 창립되었다.
같은 해 8월 학부 칭호는 인문과대학, 수산과대학으로 개칭되었다가 1948년 7월 수산학부는 국립부산수산대학으로, 인문학부는 국립부산대학으로 분리·확정되었다. 1953년 4월 문리과대학, 법과대학, 상과대학, 공과대학, 약학대학, 의과대학 등 6개 단과대학으로 구성된 부산대학교를 종합대학교로 승격하는 인가가 떨어졌고, 같은 해 9월15일 국립학교 설치령 개정에 의해 국립종합대로 정식 출범했다.
1961년 대학정비시책에 의해 부산교육대학교와 부산수산대학교가 병합되었다가, 1963년과 1964년에 각각 다시 분리되었다. 1981년 치과대학을 신설하고, 문리과대학은 인문대학과 자연과학대학으로 분리 개편했다. 1997년 부산대학교 50년사를 발간했다. 2006년 3월 밀양대학교를 부산대학교 밀양 캠퍼스로 통합하였다. 2008년 국내 유일의 한의학전문대학원을 개원하고 2009년에는 법학전문대학원을 개원했다. 2011년 모스크바대학과 국내 첫 교류 협정을 체결한 바 있다. 2014년 인문관과 무지개문/옛수위실이 문화재로 등록되었다. 2016년 개교 70주년을 맞이하여 음악회를 개최했다. 2020년 정보의생명공학대학을 신설했다. 2023년 12월 국립대학교 최초로 느린학습자를 위한 'PNU 미리내대학'을 개설했다. 2024년 3월 데이터사이언스전문대학원을 신설했다.
대학 조직
2025년 기준 대학은 인문대학과 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공과대학, 사범대학, 약학대학, 의과대학, 예술대학, 생활과학대학, 나노과학기술대학, 생명자원과학대학, 간호대학, 경영대학, 경제통상대학, 정보의생명공학대학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학원으로는 일반대학원 외에 국제전문대학원과 치의학전문대학원, 한의학전문대학원, 법학전문대학원, 데이터사이언스전문대학원 등의 전문대학원과 경영대학원과 경제통상대학원, 행정대학원, 교육대학원, 산업대학원, 환경대학원, 기술창업대학원, 금융대학원, 융합의생명과학대학원 등의 특수대학원을 두고 있다.
지원/부속시설에는 교육인증원과 산학협력단, LINC3.0사업단, 미래정책실, 생명윤리위원회, 동물실험윤리위원회, 창업지원단, 인권센터, 안전보건관리본부 등이 있다. 연구소로는 간호과학연구소와 과학교육연구소, 광메카트로닉스연구소 등을 비롯하여 다수가 있다.
현황
부산대학교는 4개의 특화된 캠퍼스로 구성된 복수 캠퍼스 체제를 갖추고 있다. 부산캠퍼스는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대학로63번길 2에 있다. 의생명 특화 캠퍼스인 양산캠퍼스는 경남 양산시 물금읍 부산대학로 49에 있으며, 나노·바이오 특화 캠퍼스인 밀양캠퍼스는 경남 밀양시 삼랑진읍 삼랑진로 1268-50에 소재한다. 또한 부산대학병원이 있는 아미캠퍼스는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179에 있다. 산하 교육기관에는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가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