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위치 | 부산광역시 남부 |
---|---|
인구 | 41,501 (2020) |
면적 | 2.82㎢ |
행정구역 | 9개동 |
사이트 | http://www.bsjunggu.go.kr/ |
요약 부산시 남부에 있는 구. 1876년의 개항 이후 세관·항만시설이 지금의 중구 일대에 입지하기 시작했다. 1951년 설치된 중부출장소가 1957년 중구로 승격되었다. 구의 북쪽은 주거지역, 남쪽은 행정·상업지역으로 조성되었다. 자갈치시장·부산민주공원·용두산공원 등이 유명하다. 중앙동에는 부산항연안여객터미널이 있다. 면적 2.82㎢, 인구 38,476(2024).
부산광역시의 남부에 있는 구. 1876년(고종 13) 조일수호조약에 따라 부산항이 개항되었다. 세관 및 항만시설이 중구에 입지하기 시작했으며 1908년 부산역도 설치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부산부가 설치되었으며 1949년에는 부산부가 부산시로 개칭되었다. 1951년 부산시가 중부출장소를 개설했다. 1957년 경상남도 부산시 중구로 설치되었다. 1995년 부산시의 광역시 승격에 따라 부산광역시 중구가 되었다.
북서쪽에는 보수산·복병산 등의 구릉성 산지가 솟아 있고, 남동쪽에는 복병산의 지맥인 용두산이 있으며, 구의 동서에는 영주천과 보수천이 흘러 경계를 이루고 있다. 중앙동·남포동·대창동 일대의 시가지는 대부분 매축지 위에 조성된 것이다. 구를 동서로 횡단하는 대청로를 중심으로 북쪽의 산기슭에는 주거지역이 조성되어 있고, 남쪽에는 행정, 업무 및 중심상업지역으로 발전했다.
보수동·부평동·대청동은 서구의 동대신동과 연결되는 전통적인 주거지역이며, 보수산 기슭에는 불량주택과 아파트가 혼재해 있다. 중구는 시청을 비롯하여 언론 및 금융 기관이 집중한 중심업무지역으로 지가가 가장 높은 지역이며, 해마다 상주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중앙동에는 금융·언론 기관들이 집중해 있어 부산의 행정·경제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남포동과 광복동에는 국제시장과 고급호텔 및 전문상가가 밀집한 부산의 중심지를 이루고 있다. 국제시장은 도매를 전문으로 하는 한국 최대의 시장이었으나, 지금은 부산권의 도·소매시장으로 축소되었다. 대청로를 따라서는 인쇄·출판 및 가구점이 형성되어 있다. 남항에 인접해 있는 자갈치시장은 수산물의 거래와 요식업이 발달해 있으며, 북항은 국제 및 연안여객선터미널이 있어 해상교통의 본거지 역할을 하고 있다.
광복동에 있는 용두산공원은 조선의 개항과 함께 일제강점기인 1915년과 1916년 사이에 조성된 공원이다. 당시 용두산 정상에는 신사가 설립되어 있었다. 신사는 광복 이후에도 남아 일본인들의 집결지로 사용되었다가 1945년에 불태워졌다. 부산광역시 시설관리공단에서 공원 관리를 맡고 있다. 행정구역은 광복동·남포동·대청동·동광동·보수동·부평동·영주1동·영주2동·중앙동 등 9개 행정동, 172개통, 736개반이 있다. 구청 소재지는 부산광역시 중구 중구로 120이다. 면적 2.82㎢, 인구 38,476(2024).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부산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