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부산광역시의 연혁

다른 표기 언어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의 모습

ⓒ Radiant Urbanism/wikipedia | CC BY-SA 2.0

과거에 부산의 중심지였던 동래지방을 중심으로 해안과 강변에서는 신석기시대의 유적이, 내륙의 구릉지대에서는 청동기시대의 유물·유적이 많이 발견되고 있어 일찍부터 인간의 거주가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삼한시대에는 독로국(瀆盧國)이 이곳에 있었던 것으로 비정된다. 〈대동지지〉에 의하면 본래 거칠산국(居漆山國) 또는 장산국이었는데 79년(탈해왕 23)에 신라가 이곳을 공격하여 거칠산군(居漆山郡)을 설치했으며, 757년(경덕왕 16)에 동래군(東萊郡)으로 고쳐 양주(良州:양산) 관하에 두었다고 되어 있다.

이때 동평(東平)과 기장(機張)을 영현으로 관할했다. 고려시대에는 1018년(현종 9)에 울주(蔚州:울산)의 속현이 되었다가 후에 현이 되었다. 조선초 1397년(태조 6)에 진을 설치하고 병마사가 판현사를 겸했다. 1423년(세종 5)에 부산포를 개항하여 왜관을 설치했으며 첨절제사를 두었다가 후에 현으로 바꾸었다. 1510년(중종 5)에 삼포왜란이 일어나 왜관을 폐쇄했다가 1547년(명종 2)에 다시 왜관을 설치하면서 왜인들이 왕래하는 입구라 하여 동래를 도호부로 승격시켰다.

임진왜란이 일어난 후 현으로 강등되었다가 복구되기도 했으며, 1749년(영조 25)에 동래부에 독진이 설치되어 군사적으로 한층 강화되었다. 별호는 봉래(蓬萊)·봉산(蓬山)·내산(萊山)이었다. 조선시대에 경상좌도수군절도사영(慶尙左水軍節度使營)을 비롯하여 부산포·다대포·두모포·개운포·포이포·서평포 등 많은 수군 방어기지가 있었다.

1876년(고종 13)에 병자수호조약이 체결되어 최초의 개항장이 부산포에 설치되었다.

1877년에 조계(租界)가 설치되고 일본·중국·영국의 영사관이 자리잡았으며, 1890년에는 동래감리서가 설치되었다. 지방제도 개정으로 1895년에 동래부 동래군, 1896년에 경상남도 동래부가 되었다. 1903년 군으로 강등되었다가 1906년 다시 부로 승격되었으며, 이 해의 월경지 정리로 양산군의 두입지(斗入地)인 좌면이 동래에 편입되었으며, 일본 영사관이 폐지되고 이사청(理事廳)이 설치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 때 부산부의 부산면·사하면·사중면의 일부만이 부산부로, 나머지 지역은 동래군으로 조정되었다.

부산부의 북면·좌이면·사하면은 그대로, 용주면·동하면이 남면으로, 읍내면·서상면·동상면이 동래면으로, 서하면·동평면·남면이 서면으로, 사상면·좌이면이 사상면으로 통합되고, 기장군(機張郡)이 폐지되어 읍내면·동면·남면이 기장면으로, 동면·중북면이 일광면으로, 상북면·중북면이 장안면으로, 하북면·하서면이 정관면으로, 상서면·하서면이 철마면으로 통합되어 동래군에 병합되었다. 1925년 경상남도 도청을 진주에서 부산으로 옮겨 부산은 계속 성장했으며, 1931년에 동래면·구포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1943년에 동래군의 동래읍·사하면·남면과 북면의 2개리가 부산부로 편입되어 면적이 확대되었다. 6·25전쟁이 일어나자 1950년 8월 18일부터 1953년 8월 15일까지 임시수도였다. 전쟁중에 급격한 인구증가가 이루어져 1955년에 인구 100만 명을 넘어서자 1957년에 구제(區制)를 실시하여 6개구를 설치했다. 1960년에 이곳에서 불을 당긴 부정선거 규탄시위가 전국으로 확산되어 자유당 정권이 물러나게 되었다. 1963년에 정부 직할시로 승격하면서 동래군 구포읍·사상면·북면 등을 편입했으며, 이때 동래군은 울주군 서생면을 편입했다.

1973년에 동래군이 폐지되어 양산군에 편입되었으며, 1975년 남구, 1978년에 북구가 부산진구에서, 1983년에 사하구가 서구에서, 1980년 해운대구, 1988년에 금정구가 동래구에서 각각 분리·신설되었다. 1978년에 김해군의 일부가 북구에 편입되었고, 1989년에는 김해군·의창군의 관할 지역을 통합하여 강서구로 신설되었다. 1994년 12월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개칭되었으며, 동래구,남구,북구가 각각 동래구·연제구, 남구·수영구, 북구·사상구로 분구되었다. 1995년에는 행정구역 개편으로 양산군의 2개읍 3개면이 기장군으로 신설되어 통합되었다.

또한 1995년 전국행정구역개편으로 양산군의 장안읍·기장읍·철마면·일광면·정관면이 기장군으로 신설되어 통합되었다. 1996년 제1회 부산국제영화제가 개최되었다. 2002년에는 부산 아시아드주경기장에서 FIFA 월드컵이, 9월에는 제14회 아시안게임이 열렸다. 2005년 APEC 정상회담이 개최되었다. 한편 1997년 부산 도시철도 3호선 1단계가 착공되었으며, 1999년에는 2호선 1단계가 개통되었고, 2003년에는 4호선이 착공되었다. 2006년에는 부산~김해 경전철이 착공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부산

부산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부산광역시의 연혁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