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부르농빌

다른 표기 언어 August Bournonville
요약 테이블
출생 1805. 8. 21, 덴마크 코펜하겐
사망 1879. 11. 30, 코펜하겐
국적 덴마크

요약 덴마크의 무용수·안무가.

50여 년 동안 덴마크 왕립 발레단을 이끌었으며 화려한 무용과 표정이 풍부한 무언극을 바탕으로 하는 덴마크 발레 양식을 확립했다.

일류 무용수였던 아버지 앙트완 부르농빌에게 발레를 배운 뒤 파리로 건너가 오귀스트 베스트리스와 피에르 가르델에게서 훈련을 받았다. 파리 오페라단과 함께 수차례 공연하고 런던에서도 공연한 다음 코펜하겐으로 돌아와 덴마크 왕립 발레단의 독무 단원 및 안무가로 활동했다. 1836년 필리포 탈리오니의 작품 〈라 실피드 La Sylphide〉를 새롭게 안무하여 자신의 제자 루실 그란을 주연으로 기용해 공연했다.

그는 여행을 다니면서 관찰한 것을 바탕으로 많은 훌륭한 발레 작품들을 창작했다. 예를 들어 〈나폴리 Napoli〉(1842)는 이탈리아 여행에서 영감을 받아 만든 작품이고, 〈브뤼주 Bruges〉(1851)에서는 17세기 플랑드르의 예술에 대한 그의 관심이 엿보이며, 〈하르당게르에서의 결혼 Wedding in Hardanger〉(1853)은 노르웨이 방문에서 영감을 얻은 작품이다.

또한 그의 마지막 작품인 〈시베리아에서 모스크바까지 From Siberia to Moscow〉(1876)는 러시아 여행 뒤 만든 작품이다. 그는 스페인을 무대로 한 발레 〈기마 투우사 The Toreador〉·〈라 벤타나 La Ventana〉와, 오스트리아를 무대로 한 발레 〈카르파티아 산맥에서 In the Carpathians〉, 동양을 무대로 한 발레 〈압달라 Abdallah〉, 세계 각지에서 소재를 모아 구상한 발레 〈덴마크로부터 먼 곳 Far from Denmark〉뿐만 아니라, 덴마크를 기리는 발레들(때때로 덴마크의 국가 발레라고 불리기도 하는 〈발데마르 왕 Valdemar〉, 〈민담 A Folk Tale〉 등의 작품들)도 만들었다.

그의 작품 〈콘세르바토리에트 Konservatoriet〉(1849)는 현재 남아 있는 것 가운데 19세기초 교실에서 행해지던 고전적인 무용연습을 보여주는 유일한 작품이다. 공중도약을 훌륭하게 해내는 유능한 무용수이자 숙달된 마임 연기자였던 그는 자신이 안무한 발레에서 그러한 요소들을 강조했다. 또한 그의 안무 양식은 스승 베스트리스의 낭만주의 이전의 방식을 반영하기도 한다. 그가 만든 발레 중 많은 작품이 지금까지 1세기가 넘도록 덴마크 왕립 발레단의 레퍼토리로 남아 있다.

그는 스톡홀름에서 스웨덴 로열 오페라를 감독하기도 했으며(1861~64), 빈에서 몇 작품을 무대에 올리기도 했다(1855~56). 1877년 덴마크로 돌아온 뒤 은퇴했으며 기사작위를 받았다. 1979년 부르농빌 사후 100주년 기념행사 때 덴마크 왕립 발레단이 코펜하겐에서 1주일에 걸친 부르농빌 축제를 열었다. 축제기간에 그들은 현재 남아 있는 그의 발레 작품들을 전부 공연하고 실습강의를 했으며 미술 전시회를 열고 특별 간행물을 발간했다.

또한 부르농빌 발레와 기교에 대한 공개수업과 시연회(試演會)를 열었다. 전세계의 안무가와 부르농빌 연구자, 발레 애호가들이 이 행사에 참석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외국무용

외국무용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부르농빌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