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봉죽놀이

다른 표기 언어

요약 한국 서해안 어촌의 정월 세시놀이.

정초에 어촌에서 풍어를 기원하며 행하던 집단 가무놀이이다. 이 놀이는 어업생산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뱃군들의 소리와 춤으로 엮어지며 소리의 바탕이 봉죽타령(또는 봉기타령)이다.

큰 북을 둘러맨 북잡이와 꽹과리잡이가 자리를 잡고 서서 장단을 맞추면 선창자가 놀이판 가운데 나서서 소리를 메기고 뱃군들이 받는다. 마을단위로 대동굿을 하고 뱃기를 각자 배에 꽂고 나서 노래소리와 악기장단에 맞추어, 온 집단이 춤을 추면서 봉죽놀이를 한다. 춤은 일정한 구도나 절차 등이 있는 것이 아니며 즉흥적인 마구잡이 춤이다.

봉죽은 긴 대나무 장대 중간에 짚을 감고 서리화 같은 종이꽃과 오색기를 단 풍어기를 말한다. 이 놀이는 서해안 조기잡이와 관련이 깊다. 평안도·황해도·경기도 연평도와 천수만 안면도 일대에서 널리 행해졌으며, 첫 출어를 할 때도 용왕제를 지낸 후 마을사람들이 모두 모여 봉죽놀이를 즐겼다. 놀이의 목적은 뱃길이 무사하고 고기가 많이 들어 풍어를 누리게 해달라고 조기의 신인 임경업 장군 전에 기원하는 것이다. 황해도와 경기도 일부지역에서는 고기가 많이 잡히면 '봉죽받았다'라고도 한다. 배가 만선의 깃발을 달고 포구로 돌아올 때 사람들이 꽹과리 장단에 맞추어 봉죽타령을 부르고 춤을 추면서 봉죽놀이를 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놀이

놀이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봉죽놀이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