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사기·오미
사기란 사성이라고도 하는데 한(寒)·열(熱)·온·양으로 약성을 아는 것이다. 즉 인체에서 발생하는 병의 모양에 따라 대응하는 성을 가진 약물을 투여함으로써 질병을 치료하는 것이다.
온과 열, 양과 한은 정도상의 차이를 말하는 것으로 온은 열보다 조금 약하며 양은 한보다 조금 약한 것으로 구분한다. 오미는 약물의 신맛·쓴맛·단맛·매운맛·짠맛의 5가지 다른 맛을 말한다(과학적으로 매운 것은 맛으로 취급하지 않음). 이러한 맛은 혀의 감각에 의해 판별되는 것도 있으나 치료효과에 따라 확정한 것이 대부분이다.
귀경
어떤 약물이 어느 장기의 병변에 대하여 특이한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즉 약물의 효능에 근거를 두어 체계화시킨 것이 귀경이론이다.
수치
한약의 대부분은 생약 상태이므로 특정한 수치를 써서 그중 일부만을 사용해야만 충분한 약효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각기 다른 약성과 치료 요구에 따라 여러 가지 수치방법이 있기 마련이다.
간단히 물로 씻어내는 것부터 열을 가하여 찐다거나 볶는다거나 하는 등의 복잡한 조제과정을 거침으로써 바라는 약효에 근접하게 만드는 것으로 물만 사용하는 수장법, 불만을 사용하는 화제법, 물과 불을 동시에 사용하는 수화공제법이 있다.
방제형
필요에 따라 많은 약물 제형을 가지고 있는 것이 한의학의 특징 중 하나이다. 탕·산·환(丸)·단(丹)·주제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시럽제·주사제 등이 개발되고 있다.
병정의 장단·내외·급소에 따라 약물의 독성·내열성·용해성을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바라는 치료효과를 기대할 있다.
승강부침
약물이 작용하는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승이란 상승을 말하고 강이란 하강을 말하며 부는 외행하여 발산한다는 뜻이며 심은 내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배합
질병을 치료하고자 할 때 한가지 약물만으로 되는 경우도 있을 것이고 때로는 병정이 복잡하여 몇 가지 약물을 선택하여 응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 약물 상호간의 관계를 설명한 것이 칠정으로 그것에 의해 배합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금기
약물을 선택해 사용할 때의 주의 사항으로 배합에 따른 금기, 특수한 상황(예를 들면 임신)에 따른 금기, 음식에 따른 금기를 설명한 것이다.
용량·용법
남녀노소에 따른 용량과 약물의 성능을 설명한 것이며 복용법은 내복과 외용으로 구분할 수 있다. 외용에는 구법·세욕법·점안법 등이 있으며 내복에는 탕·산·환 등의 방제형에 따른 복용법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약용식물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