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장미목 > 장미과 > 산딸기속 |
---|---|
원산지 | 아시아 (중국,대한민국,일본) |
서식지 | 산기슭 양지쪽 |
크기 | 약 3m |
학명 | Rubus coreanus Miq. |
꽃말 | 질투 |
요약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관목. 다소 붉은빛이 도는 줄기에 가시가 나 있다. 잎은 겹잎으로 어긋나며, 잎가장자리에는 겹톱니가 있다. 5~6월에 연한 붉은색의 꽃이 피며, 꽃잎은 5장이고 꽃받침잎보다 짧다. 열매는 7~8월에 붉은색으로 익기 시작하여 딸기처럼 점점 검붉게 된다. 열매는 복분자라 하여 식용하거나 술을 담그고, 말려서 한방에서 보신제로 사용한다.
개요
장미과에 속하는 관목. 열매를 '복분자'라고 부른다. '복분자'라는 이름은 '뒤집힐 복(覆)', '동이 분(盆)'이라는 뜻으로, <동의보감>에는 복분자가 신장의 기능을 강화하여 자주 소변을 보는 병인 빈뇨증을 낫게 해주어 방안에 두었던 요강을 엎어놓게 한다는 의미로 붙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속설에는 복분자를 먹으면 정력이 강화되어 소변 줄기에 요강이 엎어진다고도 한다. 산딸기와 비슷하게 생겼으나 가시가 크고 열매의 색이 검붉으며, 양지바른 곳에서 흔히 자라고 내한성도 강한데, 잔뿌리가 많아 옮겨심어야 잘 자란다.
생태
다소 붉은빛이 도는 줄기에 가시가 나 있다. 잎은 3~7장의 잔잎으로 이루어진 겹잎으로 어긋나며, 잎가장자리에는 겹톱니가 있다. 5~6월에 연한 붉은색의 꽃이 산방꽃차례를 이루어 피며, 꽃잎은 5장이고 꽃받침잎보다 짧다. 열매는 7~8월에 붉은색으로 익기 시작하여 딸기처럼 점점 검붉게 된다. 키는 대개 3m 정도까지 자라지만, 재배를 할 경우에는 열매 채취를 위해 그보다 낮은 높이에서 키운다.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일대에 자생한다.
특징
일반 산딸기에 비해 열매가 크고 신맛이 적으며 당도가 높다. 동양의학에서는 열매를 약재로 사용하는데, 맛은 달고 시며 약성은 따뜻하고 신장에 작용하여 강장효과가 있으며 눈을 밝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대개 술을 담가 먹는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