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보퍼트

다른 표기 언어 Beaufort Sea

요약 캐나다와 알래스카 북쪽에 있는 북극해의 연해.

보퍼트 해(Beaufort Sea)

ⓒ Geo Swan/wikimedia commons | CC BY-SA 3.0

이 바다는 알래스카의 배로 곶에서 북동쪽으로 프린스패트릭 섬의 랜즈엔드를 향해 뻗어 있으며, 뱅크스 섬에서 서쪽으로 추크치 해까지 뻗어 있다. 표면적은 약 47만 6,000㎢이다. 평균깊이는 1,004m이고, 최대깊이는 4,608m이다. 이 바다는 영국의 해군 소장인 프랜시스 보퍼트 경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대륙붕은 대체로 좁은 편인데 배로 곶 근처와 그 동쪽 편이 특히 좁으며 매켄지 강 어귀의 북쪽에서 약간 넓어지기는 하나 그 최대너비가 145㎞를 넘지 않는다.이 바다의 위쪽 부분에서 사면이 1,500~1,980m의 깊이까지 급경사를 이루는 곳도 있으나 대륙붕의 평균깊이는 63m 이하이다. 이 바다에서 작은 자갈섬이나 모래톱은 흔히 찾아볼 수 있다. 가장 큰 2개의 섬인 허셸 섬(18㎢)과 바터 섬(13㎢)이 매켄지 강 어귀의 서쪽에 있다. 매켄지 강 삼각주에는 아주 작은 섬들과 모래톱들이 있다.

이 바다의 대륙사면에는 수많은 해저 계곡이 패여 있다. 깊이 1,950~3,000m에 이르는 보퍼트 해저 고원이 뱅크스 섬 서쪽의 깊은 바다에서 돌출되어 있다. 해저의 지질구조는 층리 없는 대지의 구조이며, 지진 자료는 캐나다 해분의 지각 및 대양의 지각과의 유사성을 보여준다. 저지의 해안들은 거의 전부 툰드라로 덮여 있으며, 매켄지 강 어귀의 서쪽에서만 브룩스 산맥의 지맥들이 해안선까지 뻗어 있다. 뱅크스 섬과 프린스패트릭 섬도 상당히 낮은 편으로, 최대해발이 약 270~735m에 불과하다. 해안 근처에는 두께 3m의 영구빙이 있지만, 남해안 해역에서는 8월 중순부터 9월 하순까지 항해가 가능하다.

이 바다에서는 4개의 수괴가 뚜렷이 구분된다. 두께가 약 100m에 이르는 표층수괴의 수온은 늦여름에는 -1.4℃, 겨울에는 -1.8℃에 이르며, 염도는 28~32‰이다. 베링 해협을 흐르는 태평양 및 베링 해의 바닷물에 영향을 받아 형성되는 중층수괴는 표층수괴보다 훨씬 따뜻하며 거의 북극까지 흐른다. 대서양의 심층수는 4개의 수괴 중에서 가장 따뜻한데, 온도는 0~1℃이고 염도는 34.9~35.5‰에 이른다. 저층수는 온도가 -0.4~-0.8℃에 이르고 염도는 34.9‰로 거의 일정하다. 해류방향은 북극해의 전체 해류체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동쪽으로 흐르는 매켄지 강 어귀 근처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해류가 서쪽 또는 남서쪽으로 흐른다. 매켄지 강에는 이 강의 삼각주 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고도로 응축된 백운석과 탄산칼슘을 비롯해 해마다 약 1,500만t의 퇴적물이 쌓인다. 자갈층과 모래층이 더러는 진흙과 섞여 대륙붕에 널리 퍼져 있다. 대륙사면과 뱅크스 섬 북쪽의 회색 진흙 속에는 희귀한 미세동물이 서식하고 있다. 퇴적물에는 또한 상당한 비율의 각섬석과 산화철이 들어 있다.

보퍼트 해에는 70종이 넘는 식물성 플랑크톤이 있지만 생물량은 그리 많지 않다. 거의 80여 종에 이르는 동물성 플랑크톤이 서식하고 있으며, 해저동물군은 다모류·완족동물·갑각류·연체동물 등의 700여 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도
보퍼트 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보퍼트 해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