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종묘제례악무 중 왕의 문덕을 기리는 악무.
원래는 보태평지악·보태평지무로 나뉘어 불렸으나 보통 보태평이라 한다. 보태평지무인 문무와 함께 영신·전폐·초헌에서 연주된다(→ 향악정재). 희문·기명·귀인·형가·즙녕·융화·현미·용광·정명·대유·역성의 11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1446년(세종 28) 세종에 의해 원래는 회례악으로 만들어졌다가 1463년(세조 9) 내용과 뜻은 그대로 두고 그 곡조를 축소·개작했으며, 1964년 종묘제례악으로 채택되었다. 주악의 음계는 세종 때 임종·남려·황종·태주·고선·임종의 임종궁평조였으나 세조 때 황종·태주·중려·임종·남려의 청황종궁평조로 바뀌었다. 〈세종실록〉 악보, 〈세조실록〉 악보와 〈속악원보〉·〈시용무보〉 등에 악보가 전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