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보우의 사상

다른 표기 언어

요약 고려 말기의 선승.

보우는 먼저 시대의 폐단과 운수의 변화를 관찰할 것을 주장하고, 당시의 구산선문에서의 파벌싸움이 심각함을 시대의 큰 폐단으로서 신랄하게 비판했다. 그리하여 구산을 일문으로 통합할 것을 주장하고 선문의 규칙도 일원화할 것을 주장했다. 그러나 그의 개혁안은 구산선문을 넘어 전체 불교 교단의 문제로 확대되지 못했고, 당시 불교계의 본질적인 문제에 대한 인식에 이르지 못했다.

그는 당시 국가기반을 붕괴시키고 있던 권문세족과 같은 입장에 서서 그들의 후원을 받으며 농장을 확대하고 신돈과 대립하기도 했다. 그는 사상적으로 사교입선(捨敎入禪)의 입장을 취했다. 즉 임제종의 간화선을 내세워 선의 지적 이해를 철저히 배격하고 제자들을 가르치는 데 있어 천편일률적으로 무자화두만을 참구하도록 했다.

보우가 주장하는 선의 실천방법은 처음부터 선문의 쇄락(灑落)한 활구(活句), 즉 화두만을 철저히 참구할 것이며, 만일 그것에서 소득이 있으면 본분종사(本分宗師)를 찾아가 확인을 받으라는 것이었다. 그리고 화두를 참구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지해도 용납하지 말 것을 강조하고 있었다. 그가 거의 모든 경우에 내세우고 있었던 무자와 같은 화두에는 지해나 사량분별(思量分別)이 용납될 여지가 없는 것이었다. 조선 중기 휴정의 제자들에 의해 보우의 법통이 크게 강조되었다.

저서로 〈태고화상어록 太古和尙語錄〉·〈태고유음 太古遺音〉 등이 있다. 탑호(塔號)는 보월승공(寶月昇空), 시호는 원증(圓證)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종교인

종교인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보우의 사상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