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의 국민

다른 표기 언어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의 인구성장률은 1970년대부터 꾸준히 1%대를 유지해오다가 1990년에 –3.76%로 급락한 이후 1990년대 후반에 다시 증가하기 시작해 1%미만을 유지하고 있다. 인구수는 1970년 376만 명에서 꾸준히 증가하여 1990년 447만 명까지 늘었다. 1990년대 중반부터 2010년대 후반까지 꾸준히 360만 명 선을 유지해오고 있다. 2024년 기준 인구수는 319만 4,378명이다. 15세 미만 인구수는 전체 인구의 14%이며, 전체 인구의 약 44%가 도시에서 생활한다.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에는 많은 민족이 거주하지만 주요 집단으로는 인구의 절반가량을 이루는 보스니아인과, 1/3 가량의 세르비아인, 1/5 가량의 크로아티아인과 나머지는 기타 소수민족으로 구분된다.

이 3개 민족들은 세르보크로아티아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며 인종적으로 뚜렷한 구별이 없지만 세르비아인들은 대부분 정교회 교도로 키릴 문자를, 크로아티아인들은 로마 가톨릭교도로 라틴 문자를 사용한다. 이슬람교도들의 선조는 오랜 투르크(오스만 제국)의 지배 기간동안 이슬람교로 개종한 슬라브인이다. 역사상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의 민족들은 혼재된 양식 속에서 서로 뒤섞여 살아 왔는데, 이러한 혼재된 양식은 평화시에는 세계시민주의적 분위기를 부여했지만 또한 수많은 전쟁이라는 해악을 불러오기도 했다. 사라예보에는 이슬람교 대표들이 있으며 세르비아 정교회 수도 대주교관과 로마 가톨릭교 대주교관이 있다. 이밖의 주요도시로 세르비아 정교회의 주교관구이자 로마 가톨릭교 주교관구인 모스타르와 바냐루카, 세르비아 정교회의 주교관구가 있는 투즐라, 로마 가톨릭 주교관구인 트라브니크 등을 들 수 있다.

공식 언어는 보스니아어, 크로아티아어, 영어 및 세르비아어이다. 2013년 인구 조사에서 인구의 53%는 보스니아어, 31%는 세르비아어, 15%는 크로아티아를 사용하며 나머지 1%는 기타 언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는 세르비아정교회와 로마 가톨릭을 합한 그리스도교 인구가 절반을 차지하고, 이슬람교도가 약 45%, 그밖에 소수의 힌두교도와 토착신앙의 분포를 이룬다.

비옐리나(Bijeljina)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세계사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의 국민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