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보리타작소리

다른 표기 언어

요약 도리깨로 보리를 타작하면서 부르는 민요.

전국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노동요인데 경북지방의 소리가 가장 유명하며 널리 알려져 있다. 보리가 아닌 콩이나 팥도 도리깨로 타작하므로 〈타작노래〉라고도 하며, 도리깨를 쓰므로 〈도리깨질노래〉라고도 한다. 마당에서 주로 타작하므로 〈마당질노래〉라고도 한다. 보리타작은 여러 사람이 빠른 속도로 도리깨질을 힘들게 계속해야 하는 것으로 행동의 통일이 필요하므로 노래와 일손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도리깨질을 1번 하는 동작이 3분박 둘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음악도 3분박 둘에 메기고, 3분박 둘에 받는다. 사설과 가락도 단조롭다. 한 사람이 앞소리를 메기면 여러 사람이 후렴을 받는 선후창 형식이다. 선율의 구성음은 미·솔·라·도·레로 되어 있고, '라'로 마치는 이 지역의 메나리토리로 되어 있으며 매우 힘찬 느낌을 준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한국음악

한국음악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보리타작소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