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보라

다른 표기 언어 William E(dgar) Borah
요약 테이블
출생 1865. 6. 29, 미국 일리노이 페어필드
사망 1940. 1. 19, 워싱턴 D. C.
국적 미국

요약 미국의 정치가.

33년간 상원의원을 지낸 외교통으로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날 무렵 미국의 국제연맹 및 상설국제사법재판소(PCIJ) 가입을 반대하여 유명해졌다.

그는 아이다호 주 보이시에서 변호사로 활동하다가 1892년 공화당 아이다호 주 중앙위원회 위원장에 올랐다. 1906년 처음으로 상원에 진출한 이후 압도적인 지지를 받으면서 5차례 연속 당선되는 기록을 남겼는데, 이는 연방을 통틀어 가장 오랜 상원 재임기간에 속한다. 권력의 중앙집중에 대한 뿌리 깊은 우려가 그의 사회개혁 의지에 얼마만큼 걸림돌이 된 것도 사실이지만, 그는 연방 아동국과 노동부의 설립을 주도했으며 연방 수입세의 신설을 역설하고 대자본가와 트러스트의 독점형태에 신랄한 비판을 가하기도 했다. 보라는 외교정책에 있어서 전통적인 고립주의를 표방했지만 1921년 결의안을 채택해 워싱턴 군축회의의 개최를 촉구했으며 마침내 1922년 2월 6일 '해군 군비제한 조약'을 성사시켰다. 보라는 1924년 상원 외교위원회 위원장으로 취임했고 이후 16년 동안 미국의 외교정책 결정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보라는 강제의 수준이 윤리적인 제제 정도로 한정될 경우 국가간 조약 체결에 반대하지는 않았는데, 비현실적이지만 정책수단으로서의 전쟁수행을 거부한 켈로그-브리앙 조약(1928)을 지지한 이유도 이러한 맥락에서 설명될 수 있다. 그는 오랜 기간 소련에 대한 외교적 승인을 역설했으며, 1926~28년 외국인 소유 석유자산에 대한 논쟁이 불붙었을 때도 멕시코에 대한 페어딜(Fair Deal)을 주장함으로써 라틴아메리카 근린외교의 토대를 마련했다(→ 선린정책). 대공황이 위세를 떨치고 있던 1930년대에 보라는 국내경기회복을 위한 뉴딜 조치 입안에 공헌했으며, 유럽에서 국가간 긴장이 고조되자 고립주의 중립외교 노선을 고수하는 등 미국의 전쟁개입 저지에 노력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정치가

정치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보라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