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벨라루스

다른 표기 언어 Belarus 동의어 벨라루스 공화국, Republic of Belarus
요약 테이블
인구 9,455,037명 (2024년 추계)
수도 민스크
면적 207,630㎢ 세계면적순위
공식명칭 벨라루스 공화국 (Republic of Belarus)
기후 한랭성기후
민족 구성 벨라루스인(81%), 러시아인(11%), 폴란드인
언어 벨라루스어
정부/의회형태 공화제 / 양원제
종교 동방정교회(80%)
화폐 벨라루스 루블 (Br)
국화 아마
대륙 유럽
국가번호 375
GDP USD 59,246,000,000
전압 220V/50Hz
도메인 .by

요약 유럽의 국가. 유럽 동부 내륙의 폴란드와 러시아 중간지대에 위치하며 수도는 민스크이다. 공용어는 벨로루시어와 러시아어이며, 벨로루시인이 대부분이며, 주로 동방정교회를 믿는다. 과거 폴란드, 러시아, 독일 등의 지배를 받다가 1922년 소비에트사회주의연방국 중 하나가 되었다. 소련 해체 후 1991년 독립하였다.

개요

벨라루스 국기

ⓒ SmileStudio/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소련을 이루었던 슬라브 3국(러시아·우크라이나·벨라루스) 중 가장 작다. 벨라루스는 서쪽으로는 폴란드, 북서쪽으로는 라트비아와 리투아니아, 북쪽과 동쪽으로는 러시아, 남쪽으로는 우크라이나와 경계를 이룬다. 수도는 민스크이다.

자연환경

벨라루스의 지형은 대체로 평탄하며 낮은 언덕과 구릉으로 나뉜다. 가장 높은 지대는 제르진스카야로 해발 345m밖에 되지 않는다. 산림지대가 전체 면적의 1/3을 차지한다.

산림지대가 전체 면적의 1/3을 차지한다. 폴란드와의 국경에 걸쳐 있는 벨로베주스카야푸슈차는 희귀한 유럽 들소의 원산지이기도 하다. 남부에는 프리페트 습지대가 자리잡고 있다. 드네프르 강과 그 지류인 베레지나·프리페트 강이 남부와 중부지방을 흐르며, 서(西)드비나 강은 북부를 지난다.

대륙성기후이고 대서양의 영향을 받아 겨울은 춥고 여름은 온화하며 강수량은 적당한 편이다.

국민

러시아·우크라이나어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동슬라브어를 사용하는 벨라루스인이 인구의 3/4 이상을 차지한다. 소수민족 가운데는 러시아인이 가장 많고 우크라이나인과 폴란드인도 있다.

공업화의 영향으로 제2차 세계대전 직후 전체 인구의 1/5을 차지하던 도시인구가 1990년에는 2/3로 늘어났으며 이로 인해 몇몇 교외 지역의 인구는 감소했다. 주요도시로는 수도인 민스크가 있는데 제2차 세계대전부터 1991년 독립할 때까지 소련에서 인구성장이 가장 빠른 도시 중 하나였다.

경제

토지의 대부분은 작물재배, 특히 사료작물을 재배하기에 알맞다.

주요 농산물은 곡물(호밀·귀리), 아마, 감자, 사탕무, 유제품이며 주요 산업은 중화학공업과 방직산업이다. 소·돼지 사육, 민스크 근교의 낙농업, 채소농업 등도 중요하다. 광물자원은 빈약한 편이지만 상당량의 칼륨염이 민스크 남쪽의 솔리고르스크에 매장되어 있으며, 그곳에서 비료로 가공해 유럽 국가에 수출한다.

국가 수입의 반 이상을 공업부문에서 충당하고 있고 화학비료·정유·석유화학물을 생산하기 위해 원자재와 탄화수소 연료를 수입하고 있다. 중공업단지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고 대형트럭·트랙터·덤프트럭 등을 생산한다. 이외에도 공작 기계와 텔레비전·라디오·시계·자전거·컴퓨터 등과 같은 소비재도 생산한다. 러시아로부터 공급받는 원유와 천연가스를 이용해 대부분의 전력을 생산한다. 2010년 러시아, 벨로루스, 카자흐스탄은 유라시아경제공동체 회원국으로 관세 동맹을 체결했다.

정치·사회

벨라루스의 정치제도는 1990년대 초반 사회주의의 몰락 및 소련의 붕괴, 1991년 독립이라는 변화과정을 거쳤다.

1994년 제정된 헌법에 따르면 대통령은 국가와 행정부의 수반이며 5년 임기의 직접선거제로 선출된다. 최고인민회의라고 불리는 단원제 의회 역시 5년 임기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직접 선출된다.

초등교육과 중등교육은 무상 의무교육이며 약 30여 개의 고등교육기관이 있다. 제2차 세계대전으로 국토가 황폐화되어 도시지역 주택 중 3/4이 파괴되었고 공업시설은 거의 전부 못쓰게 되었다. 전쟁 이후 빠른 속도로 조립식 주택을 보급했지만 여전히 주택공급이 부족한 실정이다.

역사

벨라루스에는 선사시대의 주거흔적이 남아 있다.

6∼8세기에 슬라브족들이 이 지역에 들어와 여러 작은 공국을 이루다가 9세기 중반에는 크이우의 속국이 되었다. 1240년 몽골족들이 크이우를 전복시켰고 실질적인 자치권은 벨라루스인에게 있었지만 영토는 대부분이 리투아니아로 넘어갔다. 1386년 야기에우오 왕조의 통치하에 리투아니아와 폴란드가 합쳐지면서 벨라루스에는 폴란드어를 국어로 사용하고 로마 가톨릭교를 국교로 하는 지주계층이 성립되었다. 당시 대부분의 농민들은 동방정교회를 믿었으며 16세기 들어 농노화되었다.

18세기 후반 폴란드가 3지역으로 분할될 때 벨라루스 전체를 러시아가 차지했다(벨라루스는 러시아어로 '백러시아'라는 뜻). 이 지역은 19세기초에 산업이 발전하기 시작했지만 그때까지만 해도 경제성장 속도가 느려 많은 사람들이 다른 지역으로 이주했다. 1918∼21년 벨라루스는 독일, 볼세비키 정부가 들어선 러시아, 그리고 재수립된 폴란드와 전쟁을 치렀고, 그 결과 서부지역이 볼세비키에 의해 폴란드로 양도되었다. 1919년 러시아 혁명을 통해 벨라루스 사회주의 공화국이 건국되었고 1922년에는 소련을 구성하는 공화국이 되었다.

1930, 1940년대 소비에트 정부하에서 급격한 산업화가 추진되었으나 제2차 세계대전으로 막대한 인명과 재산의 손실을 입었다. 전쟁 말엽에는 소비에트 정부가 1921년부터 폴란드가 차지하고 있던 벨라루스 서부지역을 되찾았다. 전후 복구사업을 대대적으로 추진했으며, 더욱 급속도로 산업화를 진행해 민스크는 소련 극서부의 산업화 중심도시가 되었다.

1980년대 후반 소련의 영향력이 약해지자 벨라루스 사회주의 공화국은 1990년 7월 독립국임을 선언했고, 1991년 8월 실질적으로 독립했다. 1991년 12월 소련이 해체되자 벨라루스는 완전한 독립을 이루었고, 국가명도 벨라루스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벨라루스로 바꾸었다. 1997년 5월 러시아와 합병조약을 체결해 '러시아-벨라루스 연방'이 되었다.

지도
벨라루스

한국과의 관계

외교

한국은 1992년 벨라루스와 공식 외교 관계를 수립했고, 벨라루스에서는 1997년 주한 공관을 개설했다.

경제·통상·주요 협정

2023년 기준 한국의 벨라루스 수출액은 6,656만 달러, 수입액은 422만 달러이다. 주요 수출품목은 정유 및 조제향료, 광학기기 및 사진용 기기, 고무 등이며 수입품목은 전기기기, 석유 및 화학공업 생산품, 유리 및 유리제품 등이다.

문화 교류·교민 현황

2023년 기준 벨라루스에 거주하고 있는 재외동포는 454명이며, 한국에서 거주하고 있는 벨라루스 국적의 등록외국인은 321명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유럽

유럽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벨라루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벨라루스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