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베틀렌

다른 표기 언어 István Gróf Bethlen
요약 테이블
출생 1874. 10. 8,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트란실바니아 게르니에세그
사망 1946. 10. 5
국적 헝가리

요약 헝가리의 총리(1921~31)를 지낸 정치가.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 헝가리의 구체제를 유지했다. 유서 깊은 트란실바니아 귀족가문에서 태어난 베틀렌은 자유당 후보로 하원의원에 당선되었다(1901). 그뒤 그는 반대세력에 가담해 벨라 의 공산정권(1918~19)에 대항하는 반혁명운동을 벌이게 되었다. 쿤이 실각하자 베틀렌은 헝가리 의회로 돌아왔고, 1921년 4월에 강력한 보수정권을 수립하겠다는 희망을 품고 총리로 취임했다.

베틀렌의 국내정책은 권위주의적이었다. 그는 옛 봉건귀족들의 특권을 보호하려 애썼고, 토지분배를 중단했으며, 비도시지역에 공개투표 제도를 다시 도입하고 선거권을 제한했다. 그의 외교정책은 궁극적으로 트리아농 조약(1920, 헝가리 영토를 빼앗아간 조약)의 개정을 목표로 삼고 있었지만, 그는 우선 국가안보를 튼튼히 하고 해외에 우방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한편, 그는 헝가리의 국제연맹 가입을 협상했고, 국가재건을 위해 차관을 얻었으며, 해외의 민간자본이 쉽게 들어올 수 있도록 해주었다. 1927년에 그는 소동맹(체코슬로바키아·유고슬라비아·루마니아가 헝가리와 맞서기 위해 맺은 삼각동맹)의 포위를 뚫고 이탈리아와 우호조약을 맺었다. 1929년에 일어난 세계적인 경제위기로 헝가리가 경제적·정치적으로 큰 타격을 받자, 베틀렌은 재정위기에 대처하지 못하고 1931년에 사임했다.

그는 새로운 우익 급진주의자들에게 대항하는 세력의 지도자로서 상당한 정치적 영향력을 유지했다. 독일이 헝가리를 점령한(1944. 3) 뒤 베틀렌은 몸을 숨겼지만, 소련군은 1945년 그를 체포해 모스크바로 데려갔으며 그는 그곳에서 죽었다고 보도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정치가

정치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베틀렌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