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베트콩은 1950년대 중반에 태동하였으나 1960년 베트남민족해방전선(NLF)의 군사조직이 되었다. NLF는 남베트남 정부를 타도하고 남베트남과 북베트남을 재통일하기 위해 임시혁명정부를 수립했다.
주로 매복·테러·파괴 등의 게릴라 작전을 수행했으며, 무기·보급품 등은 남베트남에 침투한 북베트남 군인들로부터 지원받았다.
1971~73년 파리 평화협상으로 임시혁명정부는 남베트남의 총선거가 실시될 때까지 자신들의 관리지역에 대한 통치권을 인정받았다. 그러나 평화협정은 파기되었고, 북베트남의 침공으로 1975년 봄 남베트남 정부가 급속히 붕괴되자 임시혁명정부는 남베트남 정부의 권력을 장악했다. 다음 해 베트남 재통일이 완수되었으며, 남베트남의 실질적인 통치권은 베트남 공산당과 북베트남 지도자들이 행사하게 되었다.
베트콩은 고 딘 디엠 대통령의 남베트남 정부에 반기를 든 여러 집단들이 모여 1950년대 중반에 태동되었으나 1960년에 베트남민족해방전선(NLF)의 군사조직이 되었다. 1969년 NLF는 임시혁명정부(PRG)를 수립하기 위해 베트콩이 지배하던 남베트남의 여러 지역에 있는 다른 단체와 연합했다. NLF의 주목적은 남베트남 정부를 타도하고 남베트남과 북베트남을 재통일하는 것이었다.
디엠 정권에 대항해 남베트남에서 일어난 초기의 반란활동은 처음에는 호아 하오와 카오 다이 종교집단의 구성원들이 주도했다. 1954년 이후 이들은 친공산주의 성향의 민족주의 단체인 베트민(Viet minh)의 종전 구성원들과 합세했다. 베트콩의 절대다수는 그후 남베트남에서 충원되었으나 무기·행동지침·보급품 등은 남베트남에 침투한 북베트남 군인들로부터 지원받았다. 베트콩은 주로 매복·테러 및 파괴 등의 게릴라 작전을 수행했으며, 인구가 많은 주요중심지는 정부군에게 넘겨주고 소규모 부대를 이용해 시골에 거점을 두었다.
1971~73년 파리에서 평화협상이 열렸을 때 PRG의 대표자가 참석했다. 여기서 서명한 협정서의 조건에 따라 PRG는 남베트남의 미래를 결정지을 총선거가 실시될 때까지 자신들의 관리지역에 대한 통치권을 인정받게 되었다. 그러나 남베트남 정부와 PRG 모두가 서로 희생을 감수하며 서로의 군사적·영토적 지위향상을 꾀하기 시작하면서 평화협정은 곧 파기되었다. 곧이어 북베트남이 대대적으로 남베트남을 침공해 1975년 봄 남베트남의 구엔 반 티우 대통령의 정부가 급속히 붕괴되자 PRG는 남베트남 정부의 권력을 장악, 그 이듬해 베트남의 재통일이 완수되자 다른 정치집단과 합세해 민족통일전선을 형성했다. 그후 남베트남의 실질적인 통치권은 베트남 공산당과 북베트남 지도자들이 행사하게 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