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290경, 잉글랜드 노퍽 베이컨소프 |
---|---|
사망 | 1346(?), 런던 |
국적 | 영국 |
요약
영국의 신학자·철학자.
John Bacon, Johannes de Baconthorpe, Johannes de Anglicus라고도 함. 별칭은 Doctor Resolutus.
위대한 이슬람교 철학자인 아베로에스의 이단 교리에 찬성하지 않았는데도 르네상스 시대의 아베로에스 학파는 그를 '아베로에스 학파의 왕자'로 여겼으며, 약 200년 동안 카르멜 수도원 수사들에게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노퍽 블래케니의 카르멜 수도원에서 자란 베이컨소프는 옥스퍼드·파리 대학교에서 공부한 후 케임브리지·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가르친 듯하다. 1329~33년 영국 카르멜 수도원의 관구장이었으며, 그후에는 학문 연구에 평생을 바쳤다.
그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 존 던스 스코투스, 겐트의 헨리 같은 신학자들을 탁월한 식견으로 예리하게 비평하긴 했지만 체계적인 저술로 그들의 신학을 반박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와 아베로에스의 여러 저서에 능통했으며, 이 저서들에 대한 훌륭한 주석가였다. 비록 기본 입장은 그들과 달랐으나 이 저서들을 호의적으로 해석했다. 이탈리아 북부에 본거지를 둔 아베로에스 학파는 신앙이나 신앙에 입각한 지식보다는 이성과 철학의 우월성을 주장했다 하여 후에 정통 그리스도교 사상가들로부터 공격을 받았으며, 르네상스 시대의 아베로에스 학파는 베이컨소프의 아베로에스 해석을 소중히 보존했다.
베이컨소프가 쓴 주석서로는 파리의 주교였던 신학자 페트루스 롬바르두스의 〈명제집 Sentences〉에 대한 주석(1484년 파리에서 처음 출간됨), 히포의 성 아우구스티누스가 쓴 〈삼위일체론 De Trinitate〉과 〈신국 De civitate Dei〉에 대한 주석, 캔터베리의 성 안셀무스가 쓴 〈말씀이 육신이 됨에 관하여 De incarnatione Verbi〉와 〈어찌하여 하느님은 인간을 Cur Deus homo〉에 대한 주석, 〈마태오의 복음서〉와 〈바울로의 편지〉들에 대한 주석들이 있다. 1527년 그의 〈논문집 Quodlibeta〉이 베네치아에서 처음 출판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종교인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