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베른스도르프

다른 표기 언어 Christian Günther, Greve af Bernstorff
요약 테이블
출생 1769. 4. 3, 덴마크 코펜하겐
사망 1835. 3. 28, 독일 베를린
국적 덴마크·프로이센

요약 덴마크와 프로이센의 외교관.

독일 관세동맹(Zollverein)의 창설자이다.

덴마크의 외교관 안레아스 페테르 베른스도르프 백작의 아들로서 1794~97년 5월 스톡홀름 주재 대사를 지냈으며, 6월에 아버지의 뒤를 이어 외무장관직에 취임했다.

1812년에는 오스트리아 대사로 부임해 연합국으로부터 보다 유리한 강화조건을 얻어내기 위해 노력했다(당시 덴마크는 나폴레옹 1세와 동맹하고 있었음). 베른스도르프는 1814년 5월 파리 조약에 서명했으며 덴마크 대표단을 이끌고 빈 회의에 참석했다. 1816년 베를린 주재 대사로 임명된 베른스도르프는 1818년 하르덴베르크 대공의 권유로 프로이센 외무부에서 일하게 된다.

베른스도르프는 1818년 10월 엑스라샤펠 회담에 참석했고 베를린으로 귀환할 무렵에는 외무장관이 되어 있었다. 프랑스 혁명의 대의에 반감을 품고 있었던 그는 복고주의 정치가 요한 페터 프리드리히 안칠론의 천거로 외무장관이 되었으며, 이후 프로이센의 국익을 메테르니히와 '신성동맹'이라는 유럽 외교 구도 밑에 종속시켰다는 이유로 상당한 물의를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베른스도르프는 카를스바트 칙령(1819)과 빈 최종협약, 라이바흐(지금의 류블랴나)·트로파우(지금의 오파바)·베로나에서의 메테르니히 정책을 옹호했지만 훗날 프로이센 패권의 토대로 기능하게 되는 독일 관세동맹을 창설하기도 했다.

베른스도르프는 그리스 문제를 둘러싼 러시아의 투르크 침공을 지지했으며 1830년에는 폴란드 및 벨기에에서 촉발된 자유주의 혁명에 간섭해 이를 무산시켰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세계사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베른스도르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