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베두인족

다른 표기 언어 Bedouin
요약 테이블
종교 이슬람교
특징 중동의 사막에서 유목생활을 하는 아랍의 유목민

요약 이슬람교를 믿는 민족. 대부분 목축을 하고 있으며 겨울 우기에는 사막지역으로 이동하며 다니다가 여름 건기에 경작지역으로 되돌아간다. 1950년대에 사우디아라비아와 시리아는 이들의 영토를 국유화했다. 베두인족은 그들의 생존기반이 되는 동물의 종에 따라 구별된다. 낙타 유목민은 사하라·시리아·아라비아 사막의 광대한 지역을 차지하고 있다. 양·염소 유목민은 요르단·시리아·이라크의 농경지역 주변에 살고 있으며, 소 유목민은 주로 남아라비아와 수단에서 볼 수 있다. 제1차 세계대전 후 베두인족은 이동하는 지역 정부의 통제에 따르게 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부터는 대부분이 정착생활을 하게 되었으며, 군대복무와 건설노동 참여가 일반화되었다.

베두인족

베두인족의 부적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베두인족

천막, 베두인족이 사용하는 천막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중동지역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은데도 지역적으로는 중동지역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대부분 목축을 하고 있으며 겨울 우기에는 사막지역으로 이동하며 다니다가 여름 건기에는 경작지역으로 되돌아간다.

전통적으로 농경을 위시한 다른 육체 노동을 천시해 왔지만 정치적·경제적 발달로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대부분이 정착생활을 하게 되었다.

1950년대에 사우디아라비아와 시리아는 이들의 영토를 국유화했으며 요르단은 염소 목축을 극히 제한했다. 그후 베두인족 목축민과 정착 농경민 사이에 토지사용을 중심으로 한 갈등이 심화되었다.

전통적인 베두인족은 그들의 생존기반이 되는 동물의 종에 따라 구별될 수 있다. 가장 위세가 높은 집단은 낙타 유목민으로서 사하라·시리아·아라비아 사막의 광대한 지역을 차지하고 있으며 대부족으로 조직되어 있다. 그 밑의 서열에 속하는 집단은 양·염소 유목민으로서 요르단·시리아·이라크의 농경지역 주변에 주로 살고 있다.

소유목민은 주로 남아라비아와 수단에서 볼 수 있는데 여기서는 바카라(또는 바가라) 족으로 불린다.

제1차 세계대전 후에 베두인족은 그들이 이동하는 지역 정부의 통제에 따르게 되었다. 이에 따라 베두인족 내부의 반목과 변경부락에 대한 습격이 사라지게 되고 평화적인 상업적 관계가 자리잡게 되었다. 특히 제2차 세계대전 이후부터 군대복무와 건설노동 참여가 점차 일반화되고 있다.

그러나 베두인족 사회의 특성, 즉 대가족제도·부계혈통·외혼제·일부다처제를 특징으로 하는 가부장적 질서는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수장인 셰이크(sheikh)는 남자 연장자들로 이루어진 비공식적인 장로회의 도움을 받는다.

전통적인 베두인족 사회는 자신들의 기원을 카이시족(북아랍) 또는 야마니족(남아랍)에서 찾는 '귀족' 계통 부족 외에 이들의 보호를 받는 대장장이·땜장이·직공·광대 등 '조상을 알 수 없는' 산재해 사는 예속적인 부족들로 이루어져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베두인족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