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벌루

다른 표기 언어 Hosea Ballou
요약 테이블
출생 1771. 4. 30, 미국 뉴햄프셔 리치먼드
사망 1852. 6. 7, 보스턴
국적 미국

요약 미국의 신학자.

50년 이상 만인구원파 교회의 유력한 지도자로 활동했다(→ 유니테리언 만인구원론자협회).

1789년 만인구원설을 믿게 된 그는 칼뱅주의에 근거해 이 교리를 전파했으나, 칼뱅의 '선택받은 자'만 구원받는다는 개념을 모든 인류를 포괄하는 구원 개념으로 바꾸었다. 벌루는 에단 앨런의 이신론적(理神論的) 저작 〈인간의 유일한 계시인 이성 Reason the Only Oracle of Man〉(1784)의 영향을 받아 칼뱅주의 신조를 재검토했고, 〈대속론 A Treatise on Atonement〉(1805)에서 자기 나름의 만인구원파 신학을 전개했다. 1809년 뉴햄프셔 주 포츠머스에서 목사가 되었고, 1815년 매사추세츠 주의 살렘으로 이주했으며, 1817년 12월부터 죽을 때까지 보스턴에서 제2만인구원파 교회의 목사로 지냈다.

종교적 사고에서 이성을 강조한 그는 만인구원설을 삼위격(三位格) 신 개념에서 분리해 신이 인격화된 속성, 즉 기능을 가졌다고 보지 않는 일격론적(유니테리언파) 입장으로 바꾸었다.

그는 또한 원죄설과 대속의 교리를 포기하고, 그리스도는 하느님과 인간을 화해시키기 위해서가 아니라 인간에 대한 하느님의 끊임없는 사랑을 입증하기 위해 죽었다고 믿었다. 1817년부터 그는 죄에 대한 형벌은 이 세상에서 받게 되며, 죽으면 영혼은 하느님의 사랑으로 정화되어 영생에 들어간다고 주장했다. 이로 인해 논쟁이 계속되다가 결국 죽은 뒤에도 얼마 동안은 벌을 받게 된다고 믿는 만인구원론자들이 떨어져 나갔다. 벌루는 〈내세응보(來世應報)의 교리에 관한 검토 An Examination of the Doctrine of Future Retribution〉(1834)에서 이 논쟁에 관한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

그밖에도 많은 글을 썼는데, 이 저서들 가운데에는 1만여 편의 설교와 수많은 찬송가, 에세이들이 있다. 그는 〈만인구원론 The Universalist Magazine〉(1819)·〈만인구원론 해설 The Universalist Expositor〉(1830)을 창간·편집했다. 〈만인구원론 해설〉(나중에 〈만인구원론과 총평 The Universalist Quarterly and General Review〉으로 제목이 바뀜)의 일을 할 때는 그와 이름이 같은 호제아 벌루(1796~1861)라는 조카의 도움을 받았는데, 그는 만인구원파 교회의 일을 계승했으며 투프츠대학(나중에 투프츠대학교가 됨)의 초대 학장을 지냈다.

벌루에 관한 저서로는 어니스트 카사라의 〈호제아 벌루와 미국의 종교적 자유주의의 발생 Hosea Ballou and the Rise of American Religious Liberalism〉(1958)·〈호제아 벌루:정통주의에 대한 도전 Hosea Ballou:The Challenge to Orthodoxy〉(1961)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종교인

종교인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벌루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