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백혈병

다른 표기 언어 leukemia , 白血病

요약 병의 경과와 백혈구의 종류에 따라 과립구·골수구·림프구 등으로 나뉜다. 방사능에 노출이나 유전적 특성도 원인이다. 어린이에게는 급성림프구성백혈병이 흔한데, 90% 이상의 치사율을 보였으나 약물 치료로 병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었다.
성인에게 흔한 급성골수성백혈병은 오랜 기간 생존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만성백혈병은 서서히 발병하고 병의 경과도 길다. 40대에 많이 발생하는 만성골수성백혈병은 증상이 생기기 전에 오랜 기간이 걸리기도 한다. 화학요법은 증상을 완화시킬 수는 있으나 수명연장에 있어서의 효과는 확실하지 않다. 만성림프구성백혈병 노인들에게서 많이 발생하는데 1/3은 진단받은 뒤 10년 이상 생존한다.

백혈병

ⓒ Medtech THAI STUDIO LAB 249/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많은 종류의 백혈병이 병의 경과와 주요백혈구의 종류에 따라서 분류되어 있는데, 일반적으로 과립구·골수구·림프구(lymphocyte) 등으로 나뉜다.

몇 가지 종류는 히로시마에 투하된 원자폭탄에 피폭된 일본인들에게서 볼 수 있듯이 방사능에 노출되어 생기며, 다른 원인으로는 유전적인 감수성이 있다(→ 복사). 동물에서는 바이러스도 백혈병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으나 사람에서는 명백하게 증명된 바가 없다. 급성백혈병은 급격하게 발병하며 빈혈, 열, 출혈, 림프선 증대 등을 동반한다.

어린이에게서 가장 흔한 형태는 급성림프구성백혈병(acute lymphocytic leukemia)인데, 한때는 6개월 이내에 90% 이상의 치사율을 보였으나 지금은 그후에 개발된 약물 치료로 상당수에서 병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었다. 대부분의 환자는 혈액 중에 악성 세포가 하나도 보이지 않는 완전관해에 도달하고, 절반 이상의 환자는 계속적인 치료를 통해 완치로 인정되는 5년 이상의 무질병 상태로 지낼 수 있다.

백혈병의 치료 결과가 늘 이처럼 좋은 것은 아니다. 성인에게 흔한 급성골수성백혈병에서는 50% 이상이 관해를 경험하지만 대개 그 기간이 짧고, 재발하지 않고 오랜 기간 생존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만성백혈병도 역시 어른에게서 많이 발생하는데 서서히 발병하고 병의 경과도 길다. 만성골수성백혈병(chronic myelogenous leukemia)은 40대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데, 체중감소·미열·허약 등의 증상이 있기 전까지 오랜 기간 동안 별 증상이 없을 수도 있다. 화학요법(chemotherapy)은 이러한 증상을 완화시킬 수는 있으나 수명연장에 있어서의 효과는 확실하지 않다.

만성림프구성백혈병(chronic lymphocytic leukemia)은 기본적으로 노인들에게서 많이 발생하고 수개월 또는 수년 동안 비활동성으로 있을 수 있다. 치료는 일반적으로 빈혈이 나타날 때까지 지연되는 수가 많으며, 생존율은 만성골수성백혈병보다 높다. 1/3은 진단받은 뒤 10년 이상 생존한다. 만성림프구성백혈병은 그 자체가 사인이 되는 경우는 드물고, 대개 치명적인 감염이나 출혈로 사망하게 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백혈병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