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백자 유개항아리

다른 표기 언어 白磁 有蓋壺
요약 테이블
문화재 지정 국보(1991.01.25 지정)

요약 경기도 광주의 관요에서 제작된 조선 전기의 백자 항아리. 큰 항아리는 총높이 34.0cm, 높이 27.2cm, 입지름 10.1cm, 밑지름 13.7cm이며, 작은 항아리는 총높이 12.5cm, 높이 9.5cm, 입지름 4.2cm, 밑지름 5.7cm이다. 큰 항아리는 아가리 부분이 밖으로 말아 붙여져 있으며, 어깨 부위에서 급하게 팽창되어 벌어지다가 풍만하고 둥근 곡선을 그리며 서서히 줄어든다. 작은 항아리의 모양은 큰 항아리와 거의 비슷하다.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 55길 60-16번지 삼성미술관 리움에 소장되어 있다.

국보(1991.01.25 지정). 총 2점. 큰 항아리는 총높이 34.0cm, 높이 27.2cm, 입지름 10.1cm, 밑지름 13.7cm이며, 작은 항아리는 총높이 12.5cm, 높이 9.5cm, 입지름 4.2cm, 밑지름 5.7cm이다. 1991년 1월 25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큰 항아리는 아가리 부분이 밖으로 말아 붙여져 있으며, 어깨 부위에서 급하게 팽창되어 벌어지다가 풍만하고 둥근 곡선을 그리며 서서히 줄어든다. 뚜껑은 접시를 뒤집어 놓은 모양으로, 윗면 중앙에 연꽃봉오리 모양의 꼭지가 있어 손잡이 역할을 하며, 그 주위로 낮은 층단을 이루고 있다.

작은 항아리의 모양은 큰 항아리와 거의 비슷하다. 굽바닥은 안으로 깎아 세웠고, 굽다리에는 가는 모래받침으로 받쳐 구운 흔적이 있다. 유약은 엷은 청색을 머금고 있으면서 내·외면에 고르게 씌워졌으며, 색조는 유백색에 가깝고 은은한 광택이 난다. 아가리의 형태적 특징과 바탕흙, 유약, 표면의 색조, 구워낸 방법들로 미루어 조선 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왕실에서 사용할 고급 자기를 생산하던 경기도 광주 지방의 관요에서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 55길 60-16번지 삼성미술관 리움에 소장되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조선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백자 유개항아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