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배링턴

다른 표기 언어 George Barrington
요약 테이블
출생 1755. 5. 14, 아일랜드 킬데어 메이누스
사망 1804. 12. 27, 오스트레일리아 뉴사우스웨일스 패레매타
국적 아일랜드

요약 1770~80년대 영국에서 소매치기로 악명이 높았던 아일랜드의 모험가.

오스트레일리아에 관한 역사서도 몇 권 저술했다는 설이 있다. 배링턴의 아버지는 헨리 월드런이라는 은세공사였다. 1771년에 아들 월드런은 연극단의 일원이 되어 조지 배링턴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그는 연극단에서 소매치기 기술을 배웠으며 1773년 재치와 교양을 지닌 신사로서 런던 사교계에 진출하여 경마, 연극 공연, 국가적인 행사 때마다 부자들의 주머니를 털었다.

1790년 8번째 유죄판결을 받은 뒤 오스트레일리아에 있는 감옥으로 이송되었으나 참회하고 사면을 받았으며 나중에는 죄수들의 감독관이 되었다. 1800년 은퇴한 뒤 잠시 동안 정신병에 걸리기도 했다.

출판업자들이 〈뉴사우스웨일스 여행 A Voyage to New South Wales〉(1803)·〈뉴사우스웨일스의 역사 The History of New South Wales〉(1802) 등의 역사책을 광고하기 위해 조지 배링턴의 이름을 사용했지만 배링턴 자신이 이 책들을 저술했다는 증거는 없다. 그는 추방된 죄수들을 위한 유명한 2행연구(二行聯句)를 창작했다고 전해진다. "모두들 진정한 애국자들이며, 이해하기만 한다면/우리는 우리의 조국을 위해 조국을 떠나왔나니." 이 시구는 실제로는 1801년 헨리 카터라는 영국인이 쓴 것이지만 배링턴의 작품으로 간주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세계사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배링턴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