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회사는 영리법인이므로 이익을 내면 가능 범위 내에서 이익을 배분해야 한다. 주주는 이윤배당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가 있으며 이윤의 배당은 가장 중요시되는 회사의 신용이고 주식가액은 이윤배당을 표준으로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배당금은 주주가 가진 주식의 수에 따라 지급하는 주주평등의 원칙을 지키도록 되어 있다. 배당은 대차대조표상의 순재산액으로부터 자본액 법정적립급 당기준비금을 공제한 후에야 그 남은 금액을 한도로 배당한다. 배당시기는 영업연도 말을 기준으로 한다. 1주당 이윤배당액과 액면가격의 비율을 배당률이라 하는데, 기업의 성쇄에 따라 이윤이 달라지면 배당률도 따라서 변하게 된다.
회사는 영리법인이므로 자본을 일정한 상태로 유지한 후 이익이 있으면 그 처분 가능한 이익을 배분하는 것이 원칙으로 되어 있다. 주주가 이윤배당을 극대화하는 것은 주식회사의 목적이며 이윤배당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는 주주권에 속하는 고유한 권리이다. 따라서, 이윤의 배당은 경영상 가장 중요시되는 회사의 신용으로서 주식가액은 이것을 표준으로 결정되며, 이익의 확정과 분배는 주주총회의 결의사항으로 되어 있다. 각 기업은 배당 내용을 달리하는 여러 종류의 주식을 발행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주주가 가진 주식의 수에 따라 배당금을 지급하여 주주평등의 원칙을 지키도록 되어 있다. 배당은 대차대조표상의 순재산액으로부터 자본액 법정적립급 당기준비금을 공제한 후에야 그 남은 금액을 한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반하고 가공의 이익을 조작하여 부당하게 배당했을 경우에는 제꼬리배당이라 하여 회사채권자가 배당금의 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 배당시기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영업연도 말을 기준으로 하며, 중간배당은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는다. 회사는 매 결산기에 영업보고서 재무제표 감사보고서 등을 정기총회에 제출해 승인을 받은 후 2개월 이내에 배당금을 지급해야 한다. 배당이 확정된 후에는 배당금은 주주에 대한 회사의 부채가 되므로 회사의 장부상에는 미지급배당금이라는 계정과목으로 배당금지급상태가 기록된다. 1주당 이윤배당액과 액면가격의 비율을 배당률이라 하는데, 기업의 성쇄에 따라 이윤이 달라지면 배당률도 따라서 변하게 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대부분의 회사가 장래 어느 결산기에 이익이 적거나 없는 경우가 발생할 것을 대비해 비교적 이익이 많은 연도에 이익잉여금을 적립함으로써 배당준비적립금을 마련하거나 비밀준비금을 설정해 평균적인 배당률 유지를 기도한다. 또한 국가와 같은 제3자가 일정률의 배당을 보증함으로써 사채적 특질을 가미한 주식을 발행하는 경우도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기업/경영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