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방향족 화합물

다른 표기 언어 aromatic compound

요약 원자들이 2종류의 공유결합으로 연결되어 1개 또는 그 이상의 평면고리형 분자구조를 이루는 광범위한 화합물의 총칭.

방향족이라는 용어는 1860년경에 콜타르에서 분리된 탄화수소족에 최초로 쓰였으며, 다른 탄화수소족(예를 들면 파라핀족 탄화수소나 올레핀족 탄화수소)에 비해 훨씬 더 강하고 특이한 냄새를 지닌 일련의 탄화수소족에 붙여졌다.

화학에서 방향족성은 이 계열에 속한 분자들의 전자구조에서 기인된, 특히 반응성이 낮은 화학적 성질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방향족 화합물은 6개의 탄소원자가 고리를 이루는 벤젠 유도체들이다. 그밖에 탄소원자 자리에 다른 원소들, 특히 질소 원자가 탄소 위치에 1, 2개 치환된 화합물이 있다.

고리 내의 모든 원자는 인접한 2개의 원자들과 각각 1쌍의 전자를 공유한다. 이 각각의 전자쌍은 두 원자 사이에 편재되어 있으면서 시그마결합(σ-bond)을 형성한다. 한편 전자밀도가 높은 영역에서는 파이 결합(π-bond)을 형성한다. 이 파이 결합의 특징은 평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특정 원자 사이에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고리 전체에 걸쳐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방향족 화합물의 기본적인 특성은 고리 내의 원자수나 원자 종류가 아니라 파이결합에 참여하는 전자수에 의해 결정된다. 파이결합을 하는 계는 보통 6개의 전자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4n+2(n=1, 2, 3……)로써 전자수를 나타낼 수도 있다(→ 벤젠).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화학

화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방향족 화합물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