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방송위성

다른 표기 언어 broadcasting satellite , 放送衛星

요약 가정에서 직접 수신할 수 있도록 방송전파를 증폭하여 지상으로 송신하는 위성방송용 정지위성.

통신위성의 일종이나 중간에 중계증폭(中繼增幅)이 들어가지 않는다는 점에서 통신위성과는 다르다. 방송위성은 주로 바다를 사이에 두고 멀리 떨어진 여러 지역이나 지상방송망이 발달되지 않은 지역 등의 난시청 해소를 위해 텔레비전 방송용으로 고안되었다.

지상의 방송국에서 발신된 전파를 인공위성에 탑재된 중계기를 이용하여 직접 각 가정의 안테나로 보내는 방송 방식이다. 중계증폭기, 성형빔 안테나, 태양전지 패널, 위성 통신장치, 위치자세제어장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방송위성을 적도 상공 3만 6,000㎞의 정지궤도에 쏘아올리면 이 위성을 지평선 위에서 볼 수 있는 지점에서는 언제나 위성에서 발신되는 방송전파를 직접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방송위성의 전원(電源)은 보통의 통신위성보다 훨씬 강력하다.

세계 각국의 방송위성은 대개 개별 수신 형태를 취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공동수신 형태인 CATV(유선TV) 등에의 분배를 목적으로 하는 통신위성도 있다. 현재 아시아 지역에는 일본의 JC-새트 1~4호 및 BS-2호와 중국의 아시아새트 1~3호 등이 있으며, 한국에서는 1995년 무궁화 1호 위성을 발사한 이래 1999년 9월 무궁화 3호까지 발사해 2002년 현재 3개의 방송위성을 가지고 있으며, 아리랑 TV가 아시아 세트3 위성을 이용해 아시아와 오세아니아를 대상으로 한국어, 영어, 중국어 자막으로 위성방송을 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컴퓨터/정보통신

컴퓨터/정보통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방송위성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