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교류발전기

다른 표기 언어
교류발전기

ⓒ Sergei Prokudin-Gorskii/wikipedia | Public Domain

교류발전기는 2개의 정류자편을 2개의 고리로 바꾼 형태이다.

이 고리를 전기자 코일이 회전하는 축 위에 연결시키고 서로 절연된 상태로 붙인다. 코일 한쪽 끝은 하나의 고리에, 다른 한끝은 다른 고리에 접속시킨다. 이 구조에 의하면 고리 사이에 교류전압이 생기는데, 이 전압은 각각의 고리 위의 브러시로부터 외부로 나오게 된다. 이러한 형식의 발전기는 회전 전기자형이라고 부르는데, 최근에는 교류 여자기 이외의 것은 거의 제작되고 있지 않다. 그 이유는 전기자를 고정하고 계자극을 회전시키는 것이 전자기 코일의 지지와 절연을 더 값싸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자극의 코일은 축에 절연·부착된 집전자(集電子 slip ring)에 접속되는데, 고리 위의 브러시를 통해서 여자기로부터 나오는 직류에 의해서 자기화(磁氣化)된다.

교류발전기에서는 발생하는 전압의 파형이 사인파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극면의 형태와 전기자 코일의 접속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사인파에 아주 가깝게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대부분의 교류발전기는 3개의 전기자 단자를 지닌 3상 교류발전기이다.

전기자 코일은 3개의 여러 다른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각각은 시간적으로 1/3주기씩 어긋난 전압을 발생시킨다. 발생한 전압의 크기는 계자전류를 바꾸면 변화하는데, 이를 위해서 보통 여자기의 계자회로에 가감 저항기를 사용한다. 전기자 전류를 통하지 않고 전압을 정격치로 맞춘 다음, 부하를 걸어서 3개의 단자로부터 같은 전류를 끌어냈다고 가정하면, 전류에 대한 전기자의 반작용은 접속된 부하의 성질에 의존한다. 그 부하가 유도 전동기의 특징적인 지연출력률을 가진 것이라면, 그것의 자기력을 감소시키는 작용에 의해서 선속이 감속되고 유도기전력도 거의 비례하여 낮아진다. 이 감소분 외에 코일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전압 강하가 발생하기 때문에, 단자간의 전압은 더욱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만일 부하가 앞선 출력률을 지니는 것이라면 그것의 자기력을 증가시키는 작용에 의해서 선속이 증가하여 단자간의 전압이 상승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전기/전자

전기/전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교류발전기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