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미송리식 토기

다른 표기 언어 美松里式土器

요약 청동기시대에 사용되었던 민무늬토기의 한 형태.

평안북도 의주군 의주읍 미송리의 석회암 동굴에 있는 미송리유적에서 출토된 민무늬토기와 유사한 토기들을 총칭해서 미송리식 토기라고 한다.

미송리유적에서는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의 두 가지 문화층이 발견되었는데, 미송리식 토기는 청동기시대 층에서 출토된 유물 가운데 청동도끼와 함께 가장 중요한 유물이다. 모양은 토기 겉면을 갈고 양쪽에 손잡이가 하나씩 달렸으며 표주박의 위아래를 잘라버린 듯한 단지 모양이다. 미송리식 토기는 청천강 이북에서 길림·요령 지방에 이르기까지 넓게 분포하고 있다.

민무늬토기

ⓒ wikimedia commons | Public Domain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미송리식 토기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