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미국폴란드인가톨릭 교회

다른 표기 언어 Polish National Catholic Church of America

요약 19세기말과 20세기초 로마가톨릭 교회를 떠난 미국의 폴란드인 이주민들이 세운 복고 가톨릭 교회.

그들은 미국에 있는 로마가톨릭 교회와 몇 가지 이유에서 사이가 나빴는데, 그중에는 여러 가지 내적 분규, 사제들에 대한 불만, 성직에 폴란드 태생이나 그 자손 중 주교가 1명도 없다는 사실, 주교에게 교구의 모든 재산에 대한 관할권을 준 1884년의 결정 등이 있다.

1896~97년 펜실베이니아 주 스크랜턴에 있는 예수 성심회와 마리아 성심회 구성원들은 이전의 보좌신부인 레버런드 프란시스 호두르의 지도로 독립교구를 창설했다.

그들은 폴란드인이 세운 교구의 재산은 폴란드인이 소유할 것, 교구민 전체가 선출한 사람이 그 재산을 관리할 것, 교구민의 동의 없이 폴란드인이 아닌 사람을 주교로 임명하지 말 것 등을 요구하는 청원을 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파문이 잇따랐다. 호두르 신부의 교구가 운동의 중심부가 되어 로마가톨릭 교회에서 탈퇴한 회중들을 흡수했다. 1904년 스크랜턴에서 열린 교회회의에서 여러 독립교구를 투표에 의해 하나로 통합하고 '미국폴란드인가톨릭 교회'라는 현재의 명칭을 채택했다. 또한 회헌을 채택했고, 평신도와 성직자로 구성된 최고공의회를 구성했으며, 만장일치로 호두르를 주교로 선출했다. 1907년 9월 19일 호두르는 네덜란드의 위트레흐트에서 복고가톨릭 교회 주교들로부터 축성을 받았다.

전례에 있어서 폴란드인가톨릭 교회는 로마가톨릭 교회와 비슷하다. 1900년부터 미사가 폴란드식으로 진행되었으나 1960년대에는 교구민이 원하면 영국식 미사도 허용되었다. 교리적인 측면에서는 성서, 전승, 최초의 4개 에큐메니컬 공의회의 교령, 그들 자신의 교회회의 법령에 기초하고 있다. 1922년 성직자 독신 조항이 폐지되었으며 교인들은 개인적인 죄의 고백보다는 전체고백을 한다.

교회회의나 교회 내에서의 집행력은 제1주교와 최고공의회에 있는데 최고공의회는 모든 주교, 신학교교장, 5개 교구에서 나온 평신도 대표 1명과 성직자 대표 1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평신도 대표들과 모든 성직자로 구성된 교회회의는 4년에 1번씩 열리며, 본부와 신학교는 스크랜턴에 있다. 보고에 의하면 20세기말 현재 교인수는 27만 명에 달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미국폴란드인가톨릭 교회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