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생산된 물품이나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 등의 보관을 위한 설비.
도로 교통의 발달, 대형 할인점, 홈쇼핑 등과 같은 대규모 유통 업체의 등장, 택배업의 활성화 인해 전통적인 도매업의 입지가 줄어들면서 물류창고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다. 최근의 물류창고는 대규모 설비를 갖춘 기업별, 유통업체별 물류센터의 형식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물류센터는 물류의 보관을 주 기능으로 하던 물류 창고에 물류의 배송, 포장, 단순 가공 기능까지 갖추는 경우가 많다. 또한, 물류의 수요와 공급을 정보시스템을 통해 예측, 조절, 운영할 수 있는 물류 정보 시스템을 도입해 물류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고 있다. 물류창고 혹은 물류센터의 일반적인 입지 조건으로는 고객접근성, 도로망과 같은 사회간접시설, 임대료와 같은 운영비용, 노동력 확보 가능성 등이 있다. 서울 근교의 경부고속도로망 주변을 중심으로 대형 물류센터가 들어서는 것은 이러한 입지 조건을 충족시키기 때문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태그 더 보기
경제
경제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