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무인란이 발생하게 된 원인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대체로 전통적인 해석에 크게 의존해왔다. 그것은 조선 초기 역사가들이 〈고려사〉를 편찬하면서 무신에 대한 문신의 차별 때문에 무인란이 발생했다는 평가였다.
또한 그들은 무인란으로 성립한 무인정권을 고려사회 변동의 일대 분수령으로 이해했다. 이러한 평가는 무인정권 이후를 문란하고 혼란된 사회로 서술하면서, 그러한 혼란을 수습한 새로운 왕조인 조선의 건국을 합리화하려는 당시 사대부 세력의 정치적인 의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무인란 발생의 원인에 대한 전통적인 해석은 근대 역사학에도 그대로 계승되고 있다. 발생 원인을 고려 전기 사회의 내부 모순에서 찾으려는 다소 진전된 시각을 보여주기는 하나, 그러한 내부 모순의 계기를 역시 문반·무반의 대립구조에서 찾고 있다는 점에서 크게 달라진 것은 아니었다.
예컨대 문반과 무반의 알력과 대립이라는 전통적인 해석을 그대로 고수하는 입장도 있다. 한편 고려 전기 이래 무반 자신이 그들의 지위를 상승시켜왔고 그러한 내부적·자율적인 요인이 문반·무반의 대립과 갈등을 더욱 증폭시켰고, 그것이 무인란 발생의 원인이었다고 했다. 또한 군반제라는 군제의 모순이 무인의 지위 저하를 가져왔고, 그것이 무인란을 야기시켰다는 해석이나, 집권문신세력의 부패와 타락, 무인에 대한 천시가 무인란을 촉발시킨 계기가 되었다는 등의 시각이 바로 그러했다.
이상과 같은 해석은 문반과 무반의 대립, 나아가 문반의 무반에 대한 차별대우가 무인란 발생의 원인이 되었다는 전통적인 해석을 기본 전제로 하여 그러한 대립이나 차별을 낳게 했던 계기를 고려 전기 사회의 내부 모순에서 찾고자 한 것이었다. 이러한 해석은 근본적으로 전통적인 견해에서 크게 벗어난 것은 아니라 할 수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고려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무인란 발생의 원인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