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가구의 일종.
나무를 짜서 물건을 넣어두는 장방형의 단층 궤로 앞널의 위쪽 절반을 상하로 여닫는 데서 생긴 명칭이다.
주로 옷가지나 문서·서책·제기(祭器) 등을 넣어 보관하는 데 쓰였고, 서민층에서는 천판 위에 침구를 얹거나 생활용구를 올려놓을 수 있어서 일반가정에서 가장 요긴하고 폭넓게 쓰였던 실용성 높은 가구이다. 따라서 재료도 질기고 단단한 느티나무·느릅나무·참죽나무·가래나무 등을 사용해 두꺼운 판재로 켠 다음 판재의 이음새는 사개물림으로 튼튼하게 결구하고, 무쇠나 놋쇠로 만든 경첩을 앞널에 넓게 붙여 견고도를 높였다.
반닫이의 일반적인 형태는 비슷하지만 재료와 문양이나 장석(裝錫)의 쓰임새 등이 지역에 따라 다르다. 평안도·경기도·충청도·전라도·경상도 반닫이로 크게 나뉘며, 박천·평양·강화·고흥·밀양·진주 반닫이 등으로 세분된다. 이 가운데 강화 반닫이는 느티나무와 소나무를 재료로 쓰며 무쇠와 놋쇠의 장석, 호리병 경첩, 문판 중심에 걸리는 지선형 뻗침대를 특징으로 하는 대표적인 반닫이로 꼽힌다.
밀양 반닫이는 비교적 낮은 크기에 옆으로 긴 형태이며, 병영·고흥 반닫이는 반대로 높이가 높고 폭이 좁은 형태에 구름문양과 거멀장석을 특징으로 한다. 제주도 반닫이는 전라남도와 경상남도 지방의 형식을 혼합한 것으로 느티나무에 무쇠장식을 붙여 육중한 느낌을 준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