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박준승

다른 표기 언어 朴準承
요약 테이블
출생 1865. 11. 24, 전북 임실
사망 1921. 3. 23
관련 사건 3.1운동
국적 한국
비암(沘菴)

요약 독립운동가.

3·1운동 민족대표 33인 중의 한 사람이다. 아버지는 호진이다.

고향에서 한학을 공부하던 중 1891년 천도교에 감화되어 입교했다. 1897년 접주가 되어 도호를 비암(沘菴)이라 정하고 전라도 일대에서 교리 선전에 힘썼다. 이후 1908년 수접주, 1912년 장성군 천도교대교구장 겸 전라도순유위원, 천도교사 등을 역임했다.

1919년 2월 손병희(孫秉熙)의 권유로 상경해 민족자결운동의 방침 등 독립운동에 대한 논의를 한 뒤 돌아와 수교도 유태홍(柳泰洪)·신명희·박영창(朴永昌)·윤민(尹玟)·김의규(金衣圭) 등 10여 명의 교도들에게 민족자결운동의 대의, 운동방침과 절차 등을 설명해 관하 각처의 교구에 긴밀한 연락을 취하게 했다. 2월 25일 유태홍·박영창·김의규 등과 함께 다시 상경해 2월 27일 미리 인쇄된 독립선언서 5,000매를 그들에게 나누어주고 장성·남원·임실 등 전라도 각처 교구내의 교도를 배부하도록 지시했다.

2월 27일 최린(崔麟)·오세창(吳世昌)·권병덕 등과 김상규(金相奎) 집에 모여서 독립선언서와 기타 문서의 초안을 검토하고 독립선언서에 민족대표로 서명을 했다. 28일 손병희의 집에서 다른 민족대표들과 만나 이튿날 거행될 독립선언에 따른 최종 검토를 했다. 3월 1일 오후 2시경 태화관에 모여 독립을 선언한 뒤 일경에 체포되어 서대문형무소에서 보안법과 출판법 위반으로 복역하던 중 옥사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독립운동가

독립운동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박준승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