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박종화

다른 표기 언어 朴鍾和 동의어 월탄, 月灘
요약 테이블
출생 1901. 10. 29, 서울
사망 1981. 1. 31, 서울
국적 한국

요약 시인·소설가·문학평론가. 민족예찬을 주제로 한 역사소설가로서 독자적인 위치를 확보했다.

호는 월탄.

비교적 유복한 가정에서 태어나 어렸을 때 7여 년 간 한학을 공부했다. 이때 배운 한학은 후에 역사소설을 쓰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다. 16세에 결혼한 뒤 조부의 허락을 받아 소학교를 거치지 않고 바로 휘문의숙에 입학했다.

휘문의숙 시절에 정백·홍사용·안석주·김장환 등과 함께 등사판으로 〈피는 꽃〉이라는 잡지를 펴냈고, 1920년 동인지 〈문우〉를 펴내면서 문학수업을 시작했다. 1946년 전조선문필가협회 부회장, 1947년 성균관대학교 교수와 서울특별시 예술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공산주의에 반대하는 우익진영의 대표자로서 1949년에는 한국문학가협회 초대 회장, 1964년 한국문인협회 이사장 등을 지냈다. 서울신문사 사장, 서울특별시 문화위원회 위원장 등을 거쳐 1954년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이 되었고 이듬해 회장을 역임했다. 1954년 서울신문사 사장직을 사임하고 〈임진왜란〉을 쓰기 시작하면서 잠시 중단했던 창작활동을 재개했다.

문학세계

1920년 9월 〈서광〉에 시 〈쫓긴 이의 노래〉를 발표했고, 1921년 〈장미촌〉 창간호에 시 〈오뇌의 청춘〉·〈우유빛 거리〉 2편을 발표해 문단에 등단했다. 1922년 〈백조〉 창간호에 시 〈밀실로 돌아가다〉·〈만가 挽歌〉, 평론 〈오호아문단 嗚呼我文壇〉을 발표해 대표적인 낭만주의 작가로서의 위치를 굳혔다. 그가 소설을 쓰기 시작한 것은 〈백조〉 제3호에 단편 〈목 매이는 여자〉를 발표하면서인데, 이 작품은 근대문학 이후 한국 최초의 역사소설로 손꼽히고 있다.

이어 1924년 처녀시집 〈흑방비곡 黑房秘曲〉을 펴냈다. 그뒤 소설을 쓰는 데 주력해 미술을 공부하고 싶어하는 아들과 의업(醫業)을 이어주려는 아버지와의 갈등을 그린 〈아버지와 아들〉(개벽, 1924. 9), 서민들이 먹는 순대국이 무엇인지도 모르면서 프롤레타리아 문학을 하는 작가를 풍자하는 〈순대국〉을 비롯해, 〈여명〉(개벽, 1925. 1)·〈시인〉(조선문단, 1925.2) 등의 단편을 발표하면서 소설가로서 기반을 닦았다. 본격적으로 역사소설을 쓰기 시작한 때는 1936년 〈매일신보〉에 연산군의 내면심리를 다룬 〈금삼(錦杉)의 피〉(1936. 3. 20~12. 29)를 발표하면서부터이다. 그뒤 단편 〈전야 前夜〉(조광, 1940. 7~1941. 10)·〈아랑의 정조〉(문장, 1940. 12) 등과 〈대춘부 待春賦〉(1939)·〈다정불심 多情佛心〉(1942) 등의 장편 역사소설을 발표했다. 해방 이후 앞서 발표한 〈여명〉·〈전야〉와 함께 3부작을 이루는 〈민족〉(1947)을 발표했고, 〈홍경래〉(1954)·〈청춘승리〉(자유신문, 1947. 6~12)를 비롯해, 민족수난을 다룬 대서사시라 할 수 있는 〈임진왜란〉(1955) 등을 통해 민족의 울분을 나타냈다. 이렇듯 그의 중심적인 창작활동은 역사소설을 통해 이루어졌는데 대부분의 역사소설은 신문에 연재된 통속적인 차원을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특히 〈금삼의 피〉·〈다정불심〉에서는 궁중의 비화를 다룬 선정적이고 통속적인 재미만 그렸을 뿐, 당대 일상생활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그리지 못했다. 그러나 민족의 대사건을 다룬 〈전야〉·〈여명〉·〈민족〉 등에서는 조선 말기 양반 및 중인 생활을 사실적으로 그렸다. 그의 작품을 전반적으로 보면 역사의식에 있어서 민족주의적이기보다는 복고주의적인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6·25전쟁 이후에 쓴 역사소설은 통속적인 흥미 위주의 차원을 벗어나지 못했다고 평가받고 있다. 시집으로 〈청자부 靑磁賦〉(1946)·〈월탄시선〉(1961) 등과 소설집으로 〈여인천하〉(1959)·〈자고 가는 저 구름아〉(1965) 등이 있고 수필집으로 〈청태집 靑苔集〉(1942)·〈달과 구름과 사상과〉(1965)·〈한 자락 세월을 열고〉(1970) 등 여러 편을 펴냈다. 1954년 대한민국 예술원상, 1962년 문화훈장 대통령장과 5·16민족상, 1970년 국민훈장 무궁화장 등을 받았다. 5·16민족상을 수상한 상금으로 1966년부터 '월탄문학상'을 시상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작가

작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박종화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