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박자혜

다른 표기 언어 朴慈惠
요약 테이블
출생 1895(고종 32), 경기 고양
사망 1944
국적 한국

요약 독립 운동가.

조선 총독부 부속병원 조산원으로 간우회(看友會)에서 활동했으며 지린 성[吉林省]에서 독립운동을 벌였다. 신채호의 부인이다.

조선총독부 부속병원의 조산원으로 근무하던 중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이필주(李弼柱) 목사와 연락을 취하면서 이 병원 조산원과 간호원들로 조직된 간우회의 회원들과 함께 유인물을 배포하고, 같은 해 3월 10일 비밀리에 간우회원들을 규합해 독립만세 시위운동을 했다. 이어 같은 병원 동료들과 김형익(金衡翼) 등의 한국인 의사를 규합하고 시내 국·공립 병원 직원들의 동조를 얻어 태업을 주도하다가 일본경찰에 체포되었다.

1920년 같은 병원의 김용채(金容採) 등 3명의 의사가 사직하자 병원을 그만두고 중국 지린 성으로 건너갔다. 그곳에서 신채호와 결혼한 후 각지를 전전하면서 애국지사들의 독립운동을 도왔다. 1924년 신채호가 일본경찰에 체포되어 다롄[大連] 감옥에 갇히자 베이징[北京]·톈진[天津] 등지의 독립운동가와 국내인사들과의 연락 임무를 띠고 귀국했다. 1926년 12월 나석주 의사가 동양척식주식회사 폭파 의거를 일으켰을 때 안내를 맡는 등 독립지사들간의 연락과 편의 제공에 힘썼다.

일본경찰에 여러 차례 연행되어 고초를 겪다가 신채호가 뤼순[旅順] 감옥에서 순국한 후 병을 얻어 사망했다. 1977년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

박자혜 선생 명복비는 유족

2009년 7월 15일 충북 청원군 낭성면 귀래리에서 열린 '7월의 독립운동가' 박자혜 선생 추모식에서 유족(오른쪽)이 선생의 명복을 빌고 있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독립운동가

독립운동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박자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