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박달

다른 표기 언어 朴達 동의어 박일수, 朴一洙, 박문상, 朴文湘, 김문천, 金文天, 이갑수, 李甲秀, 현봉길, 玄鳳吉, 백록, 白綠
요약 테이블
출생 1910, 함북 길주
사망 1960, 함북 주을
국적 북한

요약 일제강점기의 사회주의 운동가.

동북항일연군과 연결을 가지고 항일인민전선을 지도하기 위하여 조선민족해방동맹을 조직했다. 빈농출신으로 1929~31년 명성소년회와 갑산청년동맹에 참가해 소년과 청년층에게 민족해방사상과 공산주의 사상을 불어넣었다.

1953년 3월 동북항일연군 항일유격대 공작원인 박금철(朴金喆)과 함께 갑산공작위원회를 조직했다. 1937년 1월 갑산공작위원회를 항일인민전선의 지도기관으로서 적합하게 만들기 위해 조선민족해방동맹으로 개편하고 그 책임자가 되었다. 이후 함경남북도 일대와 평안도 지역까지 조직을 확대하면서 각지에 조국광복회지회 등을 조직했다.

기관지인 〈화전민〉과 〈자력갱생이란 무엇인가〉·〈국제뉴스〉·〈무산계급투쟁방침소론〉 등의 책자를 발간하여 선전활동을 벌이고, 항일유격대에 무기와 군사정보 제공, 주재소 습격, 친일주구 살해 등의 활동을 벌였다. 1937년 6월 항일유격대가 보천보를 습격할 때 적극 협력했다. 8월 조직이 발각되면서 체포되어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으며, 8·15해방과 함께 석방되었으나 반신불수가 되어 이후 특별한 활동을 하지 못하고, 함경북도 주을온천 휴양소에서 요양하면서 집필활동을 했다. 죽은 뒤 그의 장례는 국장으로 치러졌다.

저서로는 〈조국은 생명보다도 귀중하다〉·〈서광〉 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사회운동가

사회운동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박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