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위치 | 아르헨티나 동부 부에노스아이레스 주 남서부 |
---|---|
인구 | 320,000명 (2022년 추계) |
면적 | 2,247㎢ |
언어 | 에스파냐어 |
대륙 | 남아메리카 |
국가 | 아르헨티나 |
요약 아르헨티나의 주요항구도시. 부에노스아이레스 주 남서부 대서양 연안의 블랑카 만 가까이에 있다. 1828년 인디언들의 공격과 외국인들의 침범에 대항해서 세운 전초지 주변에서 사람들이 살기 시작했고, 현재는 팜파 남서부와 파타고니아 지방 북부에서 생산되는 곡류·고기·과일·석유화학제품을 취급하는 현대식 설비의 여러 부속 항구가 있다. 20세기초 바이아블랑카 시를 지배한 성장 지향과 중상주의 분위기에 영감을 받아 소설가 로베르토 파이로가 이 도시에 관한 소설 〈파고 치코〉를 썼다.
부에노스아이레스 주 남서부 대서양 연안의 블랑카 만 가까이에 있다. 바이아블랑카에 연결된 천연 항구로서 수심이 얕은 나포스타그란데 강의 상류 6.5㎞ 지점에 자리잡고 있다. 블랑카 만은 18세기에 이곳을 탐험한 사람들에게 '하얀 만'을 뜻하는 바이아블랑카로 불렸던 곳이다.
1828년 인디언들의 공격과 외국인들의 침범에 대항해서 세운 전초지 주변에서 사람들이 살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누에바부에노스아이레스라고 불렀던 이 주거지는 1884년 부에노스아이레스와 연결되는 첫번째 철도가 완공되면서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고 1895년 바이아블랑카 시로 인가를 받았다.
팜파 남서부와 파타고니아 지방 북부에서 생산되는 곡류·고기·과일·석유화학제품을 취급하는 현대식 설비의 여러 부속 항구가 있다. 푸에르토벨그라노는 해군기지로 이용된다. 1970년대말에서 1980년대초에는 주요산업으로 석유화학 콤비나트가 건설되었다. 남부국립대학교(1956, 이전에는 기술전문대학)와 베르나르디노 리바다비아 도서관, 여러 박물관이 있다.
20세기초 바이아블랑카 시를 지배한 성장 지향과 중상주의 분위기에 영감을 받아 소설가 로베르토 파이로가 이 도시에 관한 소설 〈파고 치코(Pago Chico)〉(1908)를 썼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