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바레인의 경제

다른 표기 언어

바레인은 국영·민간 기업이 혼합된 경제체제로 운영되고 있는 개발도상국이다. 1인당 국민총생산(GNP)은 인구증가율만큼 빠른 속도로 성장하지는 않지만 세계 여러 선진국들과 비슷한 수준이다. GNP는 주로 석유와 천연 가스 생산, 정유, 제조업, 은행업, 투자정보 서비스업 등에 기반을 두고 있다.

국토 총면적의 3%가량에서만 경작을 할 수 있다. 경작지 대부분이 바레인 섬 북부의 샘들 가까이에 있다. 농업은 경제성이 거의 없으며 대추야자·바나나·감귤류·망고·석류·콩류·토마토·오이 등을 비롯한 작물을 중심으로 국내 소비량의 아주 적은 부분에 해당되는 정도만을 생산할 뿐이다. 육지의 약 6%를 차지하는 초원에서는 3,000∼4,000마리의 염소·양·소를 기른다.

석유 매장량이 줄어드는 상황에 직면하자 바레인 정부는 다각적인 투자를 위해 애쓰고 있으며 제조업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노동력의 1/12이 공익사업과 제조업분야에서 일하고 있다. 대표적인 비(非)석유산업 생산품으로는 1970년대초에 세워진 제련소에서 생산되는 알루미늄과 알루미늄 제품들, 타일과 시멘트 블록, 플라스틱, 아스팔트, 종이제품, 밀가루, 청량음료 등이 손꼽힌다. 주요 선박수리장이 알아즐 섬과 알마나마에서 가까운 미나살만에 있다.

바레인의 전력은 모두 화력발전으로 생산된다. 전체 노동력의 3/5 이상이 외국인 노동자들로서 주로 지역사회적·개인적·사회적 차원의 서비스업, 건설업과 무역, 식당업, 호텔업 부문에서 일한다. 노동조합의 결성은 허용되지 않는다. 석유, 천연 가스, 중공업 등을 정부가 전부 또는 일부 소유하며 경공업·건설·무역·금융 등은 민간 부문에서 관할하고 있다. 외국인들의 투자를 장려하지만 내국인이 모든 기업에서 적어도 51%의 소유권을 확보해야 한다는 규제조항이 성문화되어 있다.

예산수입의 2/3를 석유와 천연 가스 수입에서 얻고 다음으로 관세와 항만세, 그리고 사회보장 기부금에서 충당한다. 지출은 주로 공익·국방·교육·보건·도로·사회보장·복지 사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바레인에는 70개가 넘는 해외은행이 있다. 이들은 현지 은행업무에는 종사하지 않고 정부와 대규모 재정기관들의 예금을 받으며 전국 또는 지역단위의 대규모 사업에 자금을 대부해준다. 바레인은 뛰어난 원격통신시설과 컴퓨터 용역회사를 갖춤으로써 페르시아 만의 금융 중심지가 되었다.

바레인의 도로망은 포장도로와 섬 사이를 잇는 도로를 포함해서 도로총길이가 160km가량 된다. 바레인과 사우디아라비아 본토를 잇는 길이 25km의 도로 및 다리가 건설되었다. 주요항구인 미나살만에서 바레인의 일반 화물 대부분을 처리하며 석유제품은 시트라 부두에서 선적된다. 알무하라크 섬에는 국제공항이 하나 있는데 착륙요금이 낮아 페르시아 지역에서 가장 이용도가 높은 공항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수출액은 수입액과 거의 같은 수준이다. 주로 석유와 천연 가스(전체 수출액의 4/5), 알루미늄 제품류를 수출하며 주요 수출대상국은 아랍에미리트·인도·일본·미국 등이다. 정유과정을 거쳐야 하는 원유·기계류·수송장비·식품·제조품 등은 사우디아라비아(석유)·영국·일본에서 수입한다.

바레인의 화폐

ⓒ ppart/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중동

중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바레인의 경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