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바라밀

다른 표기 언어 paramita , 波羅蜜 동의어 도, 度

요약 바라밀의 실천은 보살 수행 기간을 몇 겁에 걸치는 엄청나게 긴 기간으로 늘려놓는 한편, 깨달음의 과정을 한 개인만이 아닌 온 세상을 위한 과정이 되도록 했다. 대승불교에서는 바라밀의 실천이 특히 강조되는데, 통상 6바라밀이 널리 설해진다. 대승 이전의 문헌에서는 10바라밀이 열거되기도 한다.
6바라밀은 보시(재물을 주는 것, 진리를 가르쳐주는 것, 공포를 없애고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는 것)·지계(계율을 지키는 것)·인욕(적개심에서 나오는 행동에 대해 인내하고 여러 가지 어려움을 참아내는 것)·정진(한결같이 깨달음의 길을 향해 나아가는 것)·선정(명상으로 정신을 통일하고 안정시키는 것)·반야(대상에 대한 온갖 집착을 버리고 있는 그대로를 깨닫는 것)이다. 10바라밀은 여기에 방편·원·역·지를 더한 것이다.

산스크리트 파라마(parama:'최고'라는 뜻)에서 파생된 말이다. 이러한 바라밀의 실천은 보살 수행 기간을 몇 겁에 걸치는 엄청나게 긴 기간으로 늘려놓는 한편 깨달음의 과정을 한 개인만이 아닌 온 세상을 위한 과정이 되도록 했다. 따라서 대승불교에서는 바라밀의 실천이 특히 강조되고 있는데, 통상 육바라밀이 널리 설해진다.

대승 이전의 문헌에서는 십바라밀이 열거되기도 한다.

6바라밀은 보시(dāna-pāramitā:재물을 주는 것, 진리를 가르쳐주는 것, 공포를 없애고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는 것 등의 3종이 있음)·지계(계율을 지키는 것)·인욕(kṣānti-pāramitā:적개심에서 나오는 행동에 대해 인내하고, 여러 가지 어려움을 참아내는 것)·정진(vῑrya-pāramitā:한결같이 깨달음의 길을 향해 나아가는 것)·선정(dhyāna-pāramitā:명상으로 정신을 통일하고 안정시키는 것)·반야, 즉 지혜(prajñā-pāramitā:대상에 대한 온갖 집착을 버리고 있는 그대로를 깨닫는 것)이다.

10바라밀은 여기에 방편(upāya[kauśalya]-pāramitās:상대방에 알맞은 방법으로 교화하는 것)·원(praṇidhāna-pāramitā:깨달음을 이루려는 굳은 결심)·역(bala-pāramitā:10가지 불가사의한 능력)·지(jñāna-pāramitā:온갖 사물의 실상을 여실하게 아는 것)를 더한 것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바라밀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