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묘계

다른 표기 언어 墓界

요약 신분이나 품계에 따라 정해진 무덤의 구역.

묘역·영지(瑩地)·영역(瑩域)·영전(瑩田)·영묘(瑩墓)라고도 한다. 대체로 무덤이 있는 주위를 합쳐 말하나, 주위에 있는 산림이나 경작지와 구분한다는 뜻도 포함되어 있다.

중국의 묘계는 묘문(墓門 : 묘 앞에 세우는 문)·묘도(墓道 : 무덤에 이르는 길)·묘조(墓兆 : 무덤)·분장(墳墻 : 무덤 주위에 쌓은 담)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주위에 나무를 심어 다른 구역과 구분했다. 그러나 한국에는 묘문·묘도·분장 등이 없이 무덤과 그 주위를 잔디로만 덮어 구역을 나타냈고, 보(步 : 거리를 나타내는 단위의 하나)를 단위로 해서 범위를 정했다.

한국에는 〈고려사〉에 묘계가 처음 나타나는데, 그대로 조선시대까지 기본이 되었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종친으로 1품이면 전후좌우 각각 100보로 제한하고, 그 아래 품계에 따라 각각 10보씩 줄여 4품은 전후좌우 70보로 규정했다.

문무관으로 1품이면 전후좌우 각각 90보, 2품은 80보로 제한하고, 3품 이하도 품계에 따라 10보씩 줄여 정해졌다. 그러나 7품 이하나 생원·진사·유음자제(有蔭子弟 : 과거를 거치지 않고 공이 있는 조상 덕분에 벼슬에 오른 후손) 등은 6품과 같은 묘계가 정해졌다. 그리고 민가에서는 100보 이내, 서울 주위 10리 안에는 매장하지 못하도록 했다. 이 규정은 지금도 지켜지고 있는데, 매장 및 묘지 등에 관한 법률에 보면 묘지면적은 단독장일 때 20㎡, 합장일 때 25㎡로 규정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묘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