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목재를 자르고 조각하고 이어맞추는 기술.
이 용어는 건물의 골조에서 구조물의 목골구조와 문·창문·계단과 같은 조립품 모두를 포함한다.
종종 건물이 순전히 목재로만 시공되던 과거에는 목수는 상당한 역할을 했으며 석공과 함께 주로 건축 작업을 맡아서 했다. 그렇지만 목수의 작업영역은 시간의 흐름과 함께 변했다. 철근 콘크리트 공사의 증가로 주택과 조그만 구조물을 제외하고는, 특히 바닥과 지붕 등 건물의 뼈대시공에 있어서는 목수의 역할이 훨씬 축소되었다. 반면 가건물(假建物)과 콘크리트 건물의 거푸집 공사에 있어서는 목수의 일이 크게 증가했다.
목재는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어 수 세기 동안 건축재료로 사용되어왔다. 중세 이후에 완전하게 된 목공구와 목공 기술은 그 이후로 거의 변하지 않았다. 반면에 세계의 목재 공급은 주춤했고 목재를 구해서 마무리하고 유통하는 데 경비가 증가했기 때문에 전통 시공양식을 계속 수정시켜나갔다. 더욱이 많은 전통적인 시공법은 목재를 낭비했기 때문에 공학적 계산이 개발되자 경험적인 주먹구구식 방법을 대신하게 되었다. 목재의 강도 등급과 역학적 이음새(즉 목재가 견딜 수 있는 강도의 정도에 따라 재료를 등급매김), 합판과 같은 박편 목재의 개발과 조립식 시공은 목공일을 더욱 간편하게 했고 비용을 절감시켰다.
가옥의 뼈대구조는 대개 2가지 중 하나의 형태로 나누어진다(골조). 플랫폼식(서양식) 구조에서는 바닥이 층마다 개별적으로 구성된다.
경골 구조에서는 수직부재(샛기둥)가 기초에서 서까래 판까지 건물의 총높이만큼 세워진다. 뼈대의 구조물이 되는 목재는 많은 용도로 사용된다. 샛기둥은 대개 5×10㎝이고, 41㎝의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샛기둥은 마루에 있는 수평기초판과 꼭대기판에 고정되는데 이들 두 부재는 둘 다 길이가 5×10㎝이다.
종종 '노깅'(nogging)이라 불리는 보강 버팀기둥이 중간높이에서 샛기둥 사이에 시공되며 창문과 문은 5×10㎝ 목재로 상자 모양을 이루는데 여기에 쓰이는 목재들을 각각 윗부분은 인방, 바닥은 문턱이라고 부른다.
마루는 5×23㎝ 크기의 들보에 고정되는데 들보는 맨 아래 바닥이나 윗층 마루판의 기초를 일컫는 것이다. 마루는 가장자리에 주택의 폭을 따라서 평행한 열로 배치된다. 마루를 평행하게 유지시키는 십자형 버팀목은 헤링본스트러트(45°로 선이 그어져 있는 버팀목)라고 불린다.
연속되는 층에서, 널빤지나 합판으로 구성되는 아랫마루는 들보를 따라 놓여지고 아랫마루의 위에는 마무리 처리된 바닥재(은촉이음이나 다양한 덮개로 꼭 맞추어놓은 좁고 단단한 널빤지)가 놓이게 된다. 전통적인 경사 지붕은 경사진 샛기둥이나 꼭대기에서 맞붙여지는 서까래로 만든다. 폭넓은 지붕 경간 때문에 필요하게 되는 여분의 지지력은 수평의 대각제(對角材)를 추가함으로써 얻는다.
이는 횡목에 있는 V자형 대각선 지주와 함께 A자형의 서까래를 만든다. 이러한 지주를 트러스라 부른다. 일반적으로 뼈대와 대부분 목공일에 이용되는 주요부재들은 연질(軟質) 목재 그룹에 속하며 주로 쓰이는 목재로는 적송(발트 원산지의 소나무·전나무 등), 카나디안가문비나무·더글러스전나무·브리티시컬럼비안참나무·서양적색삼목 등을 들 수 있다. 이중 삼목은 풍화에 천연적인 저항력을 발휘하고 특별한 보호처리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뼈대뿐만 아니라 지붕과 벽널에 아주 유용하게 쓰인다.
구조물 공사 이외에도 목수의 작업은 약간의 이음기술을 요하는 내부장식까지도 포함된다.
이러한 작업은 문틀·캐비닛·카운터탑, 장식쇠·목조부품 제조 등을 포함한다. 보이지 않는 구조물 조각의 이음과는 달리 겉에서 볼 때 이음새가 눈에 띄지 않게 목재를 맞추는 데는 많은 기술이 필요하다.
목수가 이용하는 기본 수공구(手工具)로는, 못을 박거나 빼내고, 나사를 죄고, 유도구멍을 뚫기 위한 망치·플라이어·드라이버·송곳 등을 들 수 있다. 대패는 목재 표면을 깎고 매끄럽게 하기 위해 이용되는 수공(칼) 날이고, 끌은 목재를 어떤 형태로 잘라내기 위해 나무망치로 내려칠 수 있게 만든 날이다.
가로톱은 나뭇결을 가로질러 자르고, 세로톱은 나무결을 살려서 자를 때 쓴다. 또 테넌과 더브테일톱(dovetail saw) 등은 지시된 연결부에 정확한 절단을 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그리고 열쇠구멍 톱으로 구멍을 파내며 레벨(수준기)은 표면이 정확히 수평인지 수직인지를 알려주고, 직각3각자는 인접면 사이의 각이 직각인지를 검사한다. 전기기구를 써서 이들 기구의 기능을 보다 보완할 수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