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885. 10. 11, 프랑스 보르도 |
---|---|
사망 | 1970. 9. 1, 파리 |
국적 | 프랑스 |
요약 프랑스의 소설가·수필가·시인·극작가·언론인.
1952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현대 생활의 추악한 현실을 영원이라는 관점에서 조명한 프랑스 가톨릭 작가들의 계열에 속한다. 그의 주요소설들은 끊임없이 긴장된 분위기 속에서 벌어지는 음울하고 준엄한 심리 드라마이다. 그의 모든 작품에서 핵심이 되는 것은 죄악·은총·구제라는 문제와 씨름하는 종교적 영혼이다.
그는 독실하고 엄격한 중상류 계층에서 태어났다.
보르도대학교에서 공부한 뒤, 1906년 파리 국립고문서학교에 들어갔지만 얼마 후 글을 쓰기 위해 학교를 그만두었다. 처음으로 출판한 작품은 〈맞잡은 손 Les Mains jointes〉(1909)이라는 섬세하고 열정적인 시집이었다. 그러나 그의 재능은 소설에 있었다. 첫번째 소설 〈사슬에 묶인 아이 L'Enfant chargé de chaînes〉(1913)와 〈백의(白衣) La Robe prétexte〉(1914)는 아직 불안정한 기법을 보이지만, 그래도 그가 되풀이해 다루게 될 주제의 유형을 확립했다.
그는 고향인 보르도의 부르주아 생활의 단조롭고 숨막히는 구속을 골격으로 해, 사랑을 빼앗긴 등장인물들의 관계를 탐구하고 있다. 그가 일류 소설가로 자리를 굳힌 것은 〈문둥이에게 보내는 입맞춤 Le Baiser au lépreux〉(1922)을 통해서이다. 〈사랑의 사막 Le Désert de l'amour〉(1949)과 〈테레즈 데케루 Thérèse Desqueyroux〉(1927)에서는 더욱 원숙해진 기량을 보여주었는데, 〈사랑의 사막〉은 아카데미 프랑세즈에서 주는 1925년도 소설 부문 대상을 받았다.
〈테레즈 데케루〉는 여주인공이 숨막힐 것 같은 생활에서 탈출하기 위해 남편을 죽이려고 했던 상황을 묘사하고 있다. 흔히 대표작으로 손꼽히는 〈독사의 집 Le Noeud de vipèes〉(1932)은 한 가정을 중심으로 펼쳐진 드라마로서, 가족에 대한 늙은 법률가의 증오심, 탐욕,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의 개종을 묘사하고 있다.
다른 소설들에서와 마찬가지로 이 작품에서도 등장인물들이 인간관계에서 찾아 헤매는 사랑은 헛되며, 신의 사랑만이 진정한 것임을 피력하고 있다.
1933년 아카데미 프랑세즈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후기 소설로는 자전적 작품인 〈프롱트나크의 비밀 Le Mystère Frontenac〉(1933)과 〈바다로 가는 길 Les Chemins de la mer〉(1939), 종교적 위선과 지배에 대한 욕망을 분석한 〈바리사이 여인 La Pharisienne〉(1941)이 있다.
1938년 극작가로 방향을 바꿔 〈아스모데 Asmodée〉로 순조로운 출발을 보였다. 이 희곡의 주인공은 자기보다 약한 영혼을 지배하는 사악하고 오만한 인물로, 이 주제는 별로 성공하지 못한 작품 〈가엾은 여인 Les Mal Aimés〉(1945)에도 등장한다.
감수성이 예민한 그는 평론가들 앞에서 자신을 정당화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
〈소설가와 작중 인물들 Le Romancier et ses personnages〉(1933), 4권으로 된 〈일기 Journal〉(1934~51), 3권의 〈회고록 Mémoires〉(1959~67) 등은 그가 소설을 쓴 의도와 방법 및 당시의 도덕적 가치관에 대한 그의 태도를 말해준다. 〈신과 악마 Dieu et Mammon〉(1929)에서는 그리스도교 작가들이 부딪치는 어려운 문제, 즉 인간의 본성에 숨어 있는 사악함을 묘사하되 독자들을 시험에 들지 않게 하는 방법에 관해 고찰했다.
그는 또한 유명한 논쟁가이기도 했다.
1930년대에는 모든 형태의 전체주의를 비난하고 이탈리아와 스페인의 파시즘을 규탄하면서 정력적으로 논쟁에 뛰어들었다. 제2차 세계대전 때에는 레지스탕스 작가들과 함께 일했고, 전쟁이 끝나자 정치 토론에 점점 더 많이 참여하게 되었다. 1962년부터 공식적으로 드골을 지지했고, 1964년에 〈드골 De Gaulle〉이라는 책을 썼다. 프랑스 밖에서 그의 명성은 서서히 퍼져갔고, 많은 사람들은 그를 마르셀 프루스트 이후의 위대한 프랑스 소설가로 인정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