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명령어 축소형 컴퓨터

다른 표기 언어 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요약 1980년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교의 데이비드 패터슨 교수 팀이 개발한 프로세서(processor : 연산처리장치)의 설계법.

1950, 1960년대에는 기억용 칩의 값이 너무 비쌌기 때문에 컴퓨터 설계자들은 될 수 있는 대로 많은 컴퓨터 명령을 중앙처리장치 속에 미리 내장시켜둠으로써 메모리 속에 명령을 저장할 필요성을 줄였다. 이런 명령어 복합형 계산(CISC) 방법은 퍼스널컴퓨터에서 메인프레임에 이르는 모든 컴퓨터에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세월이 흐르는 동안 컴퓨터 설계자들은 더 많은 명령을 추가했기 때문에 CISC 방법을 이용한 기계들은 엄청나게 복잡해졌다.

예컨대 디지털이큅먼트사(Digital Equipment Corp.)의 백스(VAX)는 300개 이상의 명령이 내장되어 있다. 그러나 특별한 목적을 가진 응용분야에서는 내장된 명령어 중 대부분이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즉 명령어 중 20%가 전체 작업 중 80%의 일을 한다. 만약에 거의 사용하지 않는 명령을 제거할 수 있다면 나머지 명령어는 훨씬 빠른 속도로 집행될 수 있고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설계·제작비도 줄일 수 있게 된다.

패터슨 교수 팀은 높은 수준의 언어 프로그램을 해석해 빈도가 높은 것을 집중적이고도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는 중앙처리장치를 설계하는 데 성공했다. 이들은 1982년 명령어를 축소한 컴퓨터 RISC-I을 개발한 데 이어 1984년에는 32비트의 RISC-II의 설계를 마쳤다. 이리하여 1980년대 중반에는 IBM사가 RISC 개발에 뛰어든 데 이어 휴렛-패커드사·선마이크로시스템사·모터롤라사·인텔사 등 여러 마이크로프로세서 메이커들이 RISC 개발에 참여해 종래의 가장 빠른 칩보다 10배나 빠른 초당 1억 6,000만 개의 명령어를 수행할 수 있는 RISC 칩도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RISC 칩은 주로 공업용 컴퓨터인 엔지니어링 워크스테이션에 이용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컴퓨터/정보통신

컴퓨터/정보통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명령어 축소형 컴퓨터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