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팥·콩·메밀·녹두 등 곡물을 가구로 만드는데 쓰는 제분용 도구.
납작한 원통 모양의 돌 2개를 위아래로 맞추어놓은 형태로, 위짝의 것은 암쇠라 하여 구멍이 뚫려 있고, 아래짝은 수쇠라 하여 가운데가 뾰족해 위짝과 맞추도록 되어 있다. 보통은 위와 아래의 짝을 연결하는 중쇠가 있으며 위짝에 손잡이인 맷손이 달려 있다.
중쇠와 손잡이만 갈아 끼우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모양은 지역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으나 크게 나누어 중부와 남부 지방의 것으로 구분된다.
중부지방의 맷돌은 암쇠와 수쇠의 크기가 같고, 매함지(굵은 통나무를 둥글고 편평하게 판 것으로 갈아진 곡물가루를 담는 함지)나 매판(매함지가 귀한 곳에서 사용하며 Y자형으로 갈라진 넓고 두툼한 나무에 3개의 발을 달고 맷돌을 올려놓는 판)을 깔고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남부지방의 맷돌은 수쇠가 암쇠보다 넓고 크며 한 옆에 주둥이까지 길게 달려 있어 매함지나 매판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균형이 잡히고 섬세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